KCI등재후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지속과 변주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7-113(57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이 글은 한국 반공이데올로기의 초기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지속과 변주의 양상을 검토했다. 특히 이 글은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를 외력이 조성한 식민과 탈식민 그리고 냉전의 직접적 산물로 보지 않았다. 그 대신 그러한 구조화된 역사적 조건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정치노선을 추구했던 우익의 반공담론에 주목해서 접근했다. 실제 초기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는 자기 완결적 논리를 갖추거나 공산주의와의 논쟁을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니었다. 민족운동 내 좌우대립의 경험을 바탕으로 탈식민 전후 역사적 국면의 전환에 대응했던 우익 정치세력의 담론에 의해 구축된 측면이 강했다. 즉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는 전변된 역사적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늘 타자의 타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형성했던 우익의 반좌반공담론과 그 궤적을 같이하면서 형성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1920년대 이후 좌우갈등의 경험에서 비롯된 우익의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비판논리와 반감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민족 대 계급’의 논쟁구도가 반복되는 가운데, 좌익의 초민족적 국제주의 계급노선에 대한 우익의 비판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한 축을 이루었음을 주장했다. 이와 함께 식민과 탈식민 그리고 냉전의 국면 전환에 따른 반소반공담론의 변화양상을 분석했다. 특히 일제시기 ‘제국의 防共’ 담론과 해방 직후 민족·민주주의 시대의 그것 사이에 단절과 변화의 지점을 포착하여 양자 사이의 동형이질성을 드러냈다. 이어 미소대립의 심화 속에 반공담론의 논리가 재차 변화하는 가운데 냉전적 반공담론이 출현했음을 주장했다. 이를 통해 탈식민 전후 한국 반공담론의 다층적 구조와 함께 그것의 지속과 단절 그리고 변주의 과정을 밝혔다.
To review the process early anti-communism was formed in Korea, this article studied the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in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postcolonial, Liberation. This study did not approach the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as a direct by-product of a series of the colonial, postcolonial, and cold war made by the external, foreign force, but as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caused by the right wing that pursued its political line, interacting with the structured historical conditions, instead. Actually, early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was neither equipped with self-contained logic, nor formed through dispute with communism. It was almost established by the discourse of the right political power that coped with the historical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ostcolonial based on the right-left conflict within the National Movement. That is, the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was formed alongside the discourse of anti-left and anti-communism of the right wing that established self identity as the other of the otherness, coping with changing historical condition.
On the aspect, this article examined the critical logic for and hostility towards anticommunism movement held by the right w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right and left conflict since 1920. In the process, ‘Nation versus Class’ controversy was repeated, and criticism of the right for the class line of transnational internationalism by the left was the pivot of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study analysed the changing aspect in the discourse of the Anti-Soviet and Anticommunism according to the series of the colonial, liberation, and cold war. Especially, the study examined the point of disconnection and change between ‘Imperial Anticommunism’ discourse under Japanese imperialism and that in the period of nationalism and democracy right after the Liberation, which showed isomorphism between the two periods. And then the study suggested that with the changing logic of anticommunism discourse in the US-the Soviet Conflict, communism was defined as the other of ‘liberal democracy’, the advent of cold-war anticommunism discourse, on which the study reviewed the continuity, disconnection, and change in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with its multi-layered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n Kore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