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혁신’의 동요와 굴절 = 1924~25년 조선일보의 ‘혁신’과 사원해직사건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9-210(32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이 글은 1924년 조선일보 ‘혁신’의 방향과 내용을 검토하고, 그 연장선에서 1925년 조선일보 사원해직사건의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혁신’의 흐름과 해직사건이 하나의 흐름 위에서 파악되지 못한다면, 해직사건은 총독부 압박에 따른 굴복이라는 돌출적 사건으로 인식될 소지가 높다. 또한 단일하고 균질하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특정 세력이나 분파의 주도권 다툼이라는 시각이 부각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이 글은 먼저 1924년 9월 이후 조선일보의 ‘혁신’을 이끌었던 인물들을 세 그룹으로 파악하였다. 먼저 신석우를 중심으로 한 경영진 그룹과 이상협을 중심으로 한 신문 실무 경력자 그룹, 그리고 사회주의 계열의 기자 및 사원들이다. 이 인적 구성은 그 자체로도 ‘혁신’의 한 단계였다. 이들이 세 축이되어 ‘조선 민중 언론’으로 조선일보를 재규정하고 신문의 면모를 일신할 수 있었다. 민중적 논조를 앞세운 질적 측면의 ‘혁신’을 이루려 한 것이었으며 여기에 사회주의 계열의 역할이 중요했다. 그러나 이 조선일보의 ‘혁신’은 상이한 성격을 지닌 그룹들 간의 잠재적 갈등 상태 및 총독부의 감시와 압박이라는 조건을 필연적으로 불러왔다.
결국 이러한 상황은 1925년 9월 8일자 사설로 인해 정간사태에 처해지고 집필자가 치안유지법으로 기소되면서 ‘혁신’체제 자체의 동요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는 그 해 10월의 사원해직사건 과정에서 문제로 폭발되고 말았다. 이 시기 동안 ‘혁신’을 주도한 그룹들 중 이상협을 비롯한 신문 실무자 그룹은 탈락되었고 사회주의 계열은 축소되었다. 또한 사원 대량해고에 따른 여파로 ‘조선 민중의 언론’이라는 정체성에는 흠결이 가고 말았다. 조선일보 경영진과 화요파 공산그룹은 이면의 합의를 도출하면서 조선일보에 각기 영향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미 1924년 말의 조선일보와는 인적 구성 면에서도, 신문의 논조 및 평판 면에서도 현저히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간과 해직사건을 거치는 과정을 특정 한 그룹이 조선일보사 주도권을 독점하려 하거나, ‘혁신’의 가치를 포기하려 했다고는 볼 수 없다. 1924년 조선일보가 지향한 ‘혁신’체제는 1년여 간의 동요와 위기를 거쳐 인적 구성측면에서도 질적 가치라는 측면에서도 1925년 말 시점에는 굴절된 채로 유지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innovation’ drive experienced by the Chosun Ilbo in 1924, and at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Chosun Ilbo"s mass layoff of its employees in 1925. If the overall flow of "innovation" drive and the layoff event cannot be grasped on a single stream, the event is likely to be perceived simply as an irregularity of succumbing to the pressure of the governor general of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There is also a fear that the viewpoint downplaying the incident simply as a struggle for dominance by certain powers or factions that are difficult to judge as uniform and homogeneous group may be highlighte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first identified three groups who led the "innovation" drive of the Chosun Ilbo since September 1924. First of all, there are a group of executives led by Shin Seok Woo, a group of newspaper practitioners led by Lee Sang Hyeop, and finally, reporters and employees of socialist affiliation. This personal composition was itself a step in the "innovation". They became the three axes and redefined the Chosun Ilbo as the "Chosun People"s Press", revamping the aspect of the newspaper from its core. The aim was to achieve "innovation" in terms of qualitative aspects that had a strong public tone, where the socialist fa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However, the "innovation" of the Chosun Ilbo has inevitably promoted the conditions conducive for potential conflict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le inviting the monitoring and pressure of the governor.
In the end, this situation was brought to the jurisdiction due to the editorial dated September 8, 1925. The ensuing forced suspension of the newspaper publication and prosecution of the editorial writer unsettled the very foundation of the ‘innovation’ drive. The simmering struggle boiling under the lid soon explod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employees in October of the same year. During this period, among the groups that led "innovation" drive, the group of newspaper practitioners including Lee Sang Hyeop was dropped and the socialist group was reduced in number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identity of the paper as "Chosun People’s Press" was damaged in the aftermath of the mass layoff. The Chosun Ilbo executives and the ‘Hoayopa Communist Group’ maintained their influence on the Chosun Ilbo while eliciting the consensus behind the scene. However, compared with the Chosun Ilbo at the end of 1924, it ha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manpower composition and newspaper reputation.
Nevertheless, it cannot be said that a certain group tried to monopolize the Chosun Ilbo initiative or to abandon the value of "innovation" in the process of going through the forced suspension and mass layoff. The Chosun Ilbo"s innovation system in 1924 remained intact though somewhat refracted at the end of 1925 both in terms of qualitative value and manpower constitution after one year of agitation and crisi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