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컴퓨터 기반 검사와 종이 기반 검사의 수용 및 표현어휘 수행력 비교 = Comparison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Performances between Computer-and Paper-based Test in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저자
박지숙(Ji Suk Park) ; 최성희(Seong Hee Choi) ; 이경재(Kyoung jae Lee) ; 최철희(Chul-Hee Choi)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4-226(13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한국판 수용 · 표현 어휘력 검사에서 컴퓨터 기반(태블릿 PC) 매체와 종이 기반 매체를 이용하여 매체의 변화가 아동의 언어 수행력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생활 연령이 만 3-7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정도와 통합언어연령에 따라 각각 두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검사를 실시하고 매체를 다르게 하여 무작위 순서로 수용 · 표현 어휘력검사(REVT)를 일주일의 간격을 두고 실시하였다. 원점수, 총 반응시간, 문항별 평균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검사 매체 간 차이를 살펴 보았으며, 언어발달지연 정도와 통합언어연령에 따라 검사 매체 간 수행력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REVT검사 결과, 수용 및 표현 어휘 원점수 모두 종이 기반 검사보다 컴퓨터 기반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한편, 언어지연 정도의 중증도에 상관없이 컴퓨터 기반 검사에서는 표현형 어휘검사에서 총 반응시간과 문항별 평균 반응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짧았지만, 수용형 어휘검사에서는 총 반응시간만 현저히 짧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모든 언어 발달 지연 아동군에서, 검사 결과는 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컴퓨터 기반 검사는 언어 발달 아동의 집중도를 유지하며 반응 시간을 줄이고 어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각 매체 검사의 규준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검사에 사용되는 매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더보기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performance on the Korea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changed depending on media type (computer-based (tablet PC) vs. paper-based). Method: A total of 27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ges 3 to 7 years, participated. All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anguage development delay and the age of integrated language using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to evaluate language development. The REVT was conducted at weekly intervals using different media in a random order. Raw score, total response time (TRT), and average response time per question (ART) were measured between different media type and compared based on the degree of language development delay and the age of integrated language. Results: Our study found statistically higher raw scores i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in the computer-based test compared to the paper-based test. On the other hand,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the language delay, TRT and A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computer based expressive vocabulary test, but only TR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receptive vocabulary test. Conclusion: In this study, in all language development delayed groups, the test result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In particular, computer-based tests, rather than conventional paper-based tests, maintained the concentration of language-delayed children and helped reduce reaction time and improve vocabulary performance. Thus, the type of media used for the test should be considered.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3-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KCI등재 |
2012-12-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6-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KCI등재 |
2005-10-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8 | 1.626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