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양계초의 “시계혁명”론 연구 = On the Poetic Revolution of Liang Qi Cha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07-425(1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In the late Qing dynasty Liang Qi Chao suggested the theory of “poetic revolution”, which brought forth a remarkable change in Chinese poetic scene. It is due to the mass media that the poetic revolution led to a great success in a short period. Liang Qi Chao’s “poetic revolution” theory went along with his political stance as a reformist. While inaugurating the campaign of political reform via newspapers and literary journals, Liang Qi Chao also preached his poetic theory and at the same time drove up the reform campaign of poetry. With regard to the poetic reform campaign, there have been different views among scholars, especially with its exponent and its “three principles” at the center. Different people, different views! This paper focuses on the exponent and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oetic revolution”, both of which have been the most contentious issues. The first step is to trace the reasons why there have developed different views. On the exponent scholars are main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argues that it is Huang Zun Xian; another group insists it is Liang Qi Chao. It is just Hu Shi and Liang Qi Chao’s mention of Huang Zun Xian that provided a main reason for the divergence of view on the exponent. Another reason is that most of scholars do not draw a line between the “poetic revolution” as a theory and the poetic revolution as a reformist change on the poetic scene. Concerning “new subject matter of “three principles”, many scholars understand it as European subject matter based on Liang Qi Chao’s mention as they get confined in Liang’s statement. It is obvious that at Liang’s time “European” was a synonym with “new”, and at the same time included lots of positive concepts such as “anti-traditional”, ‘scientific”, “patriotic”, ‘democratic”, “fresh”, ‘refined” and so on. On “new word and phrase”, there is a tendency to equalize it with “new nouns” because of sticking to Liang’s statement. However, it is found that “new word and phrase” include not only new nouns but phrases of more colloquial language.
더보기청말 양계초는 시의 혁신을 주장하는 “시계혁명”론을 내놓았다. 양계초의 “시계혁명”론은 청말 시단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시계혁명”론이 단 기간에 가시적 시계혁명의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언론의 덕이었다. 양계초의 “시계혁명”은 정치혁명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언론을 통해서 유신개량운동을 전개하면서 “시계혁명”론을 설파하고 나아가 적극 추동했던 것이다. “시계혁명”의 언론진지에 관해서 학자들 사이에 비교적 이론이 없는 편이다. 그러나 “시계혁명”을 둘러싸고 학자들 간에 이론이 있는 부분이 있다. 주창자와 시계혁명의 강령 “三長”에 관한 논의를 보면 “仁者见仁, 智者见智.”의 상황인 것이다. 본 논문은 이론이 분분한 주창자와 “시계혁명”의 핵심강령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이견”의 연유를 짚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시계혁명”의 주창자를 두고 양계초가 아닌 황준헌이다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는데 그러한 주장이 다름 아닌 양계초 본인의 말과 호적의 황준헌 시의 “오독”에서 비롯되었다. 거기에다 근래 학자들이 “시계혁명”론과 문학적 성과로서의 시계혁명을 구분하지 않은 데서 오해가 연유하는 발생한 것이다. “시계혁명”의 강령인 “三長” 가운데 “신의경”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양계초가 “신의경은 유럽의경이다”라고 내린 정의에 갇혀있다. 당시에 “유럽”이라는 단어가 “新”이라는 의미와 동의어로 쓰인 사실을 근거로 “신의경”이 ‘반전통적’, ‘혁신적’, ‘과학’적, ‘애국적’, ‘민주적’ 내지는 ‘신선한’, ‘세련된’ 등의 제재를 포괄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또 “신어구”와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연구가 “신어구”를 신명사와 등치시켜 설명하고 있는데 본 논문은 ”어구“는 ”명사“는 물론 어법과 구식, 문체를 포괄하는 개념임을 밝혀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658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