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의(正義)의 여신(女神) 유스티티아(Iustitia)의 모습과 정의(正義)의 상징 = The Shape of Lady Justice(Iustitia) and the Symbol of Justi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331.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33(31쪽)
제공처
소장기관
법을 다루는 공간인 법원, 관공서나 법과대학, 법학전문대학원에서도 정의의 여신을 쉽게 만날 수 있다. 그런데, 정의의 여신 유스티티아(Iustitia)는 우리가 정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정의의 여신을 의미하는 Iustitia는 라틴어 iustitia(정의)에서 그 첫 자가 대문자로 된 것으로, ius(‘법’ 혹은‘권리’)나 iustum(‘정의로운’)과 관련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정의의 여신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정의의 여신의 원형은 이집트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소위 마아트(Maat 또는 Ma’at)가 그것인데, 최후의 심판에서 저울이 등장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그리스에서는 테미스(Themis)나 디케(Dike)를 살펴봐야 하는데, 이들은 각각 그리스 신화에서 정의를 상징하고 있었다.
고대 로마에서는, 정의의 여신이 존재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정의에 대한 로마의 관념(“Iustitia est constans et perpetua voluntas ius suum cuique tribuens”), 로마의 실용적 전통이나 私法에 대한 관심과 연결 지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차츰 로마에서도 그리스의 영향으로 정의의 여신을 찾을 수 있다. 정의의 여신은 중세에는 여신이라기보다는 德의 상징으로서 여러 미술품에 등장하며, 현재에 이어진다.
이와 같은 정의의 여신이 지니고 있는 상징물은 일반적으로 저울과 칼이다. 저울은 균형, 칼은 엄정함을 의미하는데, 징벌로 이해되기도 한다. 눈을 가린 여신도 등장하는데, 이는 그 원형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중세에서야 비로소 그 예를 발견할 수 있다. 당초에는 정의의 여신의 눈을 가림으로써 그를 희화화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눈을 가리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눈을 가린 여신이 등장하는 이상, 그것을 공정함의 전제로 보는 등 여러 가지 해석이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정의의 여신이 가지는 상징물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어서, 법전을 든 여신도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고, 현대적인 작품에서는 특별한 상징물을 들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정의의 여신이 어떠한 상징물을 지니고 어떠한 자세를 취하는가는 그를 만든 사람에 의하여 혹은 그 시대에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정의 관념이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우리는 정의의 여신을 통하여 정의 관념의 변화를 추측할 수도 있다.
We often confront ‘Lady justice’(Iustitia) standing in front of courts, public offices, universities or law schools. Iustitia has various shape depending on the thought of justice. ‘Iustitia’ understood as Lady Justice came from ‘iustitia’ which means ‘justice’ in Latin language and is relevant to ‘ius’(law or right) or ‘iustum’(just).
The original form of this goddess can be found in the ancient Egyptian artifacts. That is so called ‘Maat’(or ‘Ma’at’), which uses the scale at the last judgment. In ancient Greek Mythology, we have to look over Themis and Dike which are the symbols of justice.
Meanwhile, in the ancient Rome, at first there was not the Lady Justice, which could be relevant to the notion of the justice in Rome(“Iustitia est constans et perpetua voluntas ius suum cuique tribuens”), the tradition of practicalism, or the interest in the private law. But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Greece, we can find something like the lady justice in Rome as well gradually. Afterwards Lady Justice was not seen as a goddness but became a symbol of the virtue in the works of art, and then remained as the symbol of justice until now.
The symbols that Iustitia is bearing are generally scale and sword. Scale means balancing, and sword is the symbol of rigidness but sometimes punishment. The blindfolded Iustitias can gradually be seen, the origin of which probably can be found in the Middle Ages. It is said that in the Middle Ages the blindfolded Iustitia has meaning of sarcasm, as ‘blind’ is usually used negatively. But, after the blindfolded Iustitia has emerged, it gets to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uch as impartiality. By the way, the symbols are not restricted so that there are Iustitias having books, and some modern works do not holding symbols.
What Iusitia is holding or how she looks like reflects the jusitice which was recognized by one who made it or his contemporaries. We can trace the notion of justice with the development of Iustiti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