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본종합상사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사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usiness of Respond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3-283(1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study analyzed how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re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major innovative technologies that lea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hange the industry paradigm and affect not only manufactures that directly use them, but also trading companies who are doing business in various industries. Nevertheless, existing studie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es on defining the concep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ypes of innovative technologies, and predicting future changes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the case study of the companies’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r the study on strategic directions that can give implications to the business activities of the companie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of countermeasures agains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domestic trading companies through case study on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irst implication is that in oder to respond in a timely to the chang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obtain business opportunities, it is necessary to induce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each sales department through a dedicated organizations or committees at an enterprise level. The second implication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by applying innovativ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ie the existing business area, while using it as an opportunity to innovate the business model or create new business in the long term. In particular, it is also a good implication for domestic trading companies that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make new business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utilizing cross-industry insights obtained through business experience in various industries.
Innovative technologies that lea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y increase the connection and sharing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and there is a risk of weakening the intermediary function of traders as a middleman. It is also a good implication that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re actively 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functions and roles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in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paradigm such as the pa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volution.
본 연구는 일본 종합상사의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현황을 분석하였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주요 혁신기술들의 발전은 산업패러다임을 변화시켜 이를 직접 활용하는 제조업체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무역업체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기업의 경영과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큼에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4차 산업혁명의 개념적 정의와 혁신기술의 종류 및 그에 따른 환경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업의 대응 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이나 경영활동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전략 방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무역업체들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업환경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 일본 종합상사들의 사례를 통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 국내 무역업체들에 대한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적기에 대응하고 사업기회를 얻기 위해서는 초기에는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전담 조직이나 전사 위원회를 통해 각 영업부서 간 정보교류와 협력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사업 추진방식에 있어서 단기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혁신기술을 보유한 유망 기업에 대한 투자나 동 분야와 유관한 관계사 및 자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기존 취급품목이나 사업 분야에서 효율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비즈니스모델을 혁신하거나 신규사업을 창출하여 새로운 수익사업을 창출해 나가는 전략이 유효하다는 것이다. 특히 신사업을 창출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사업경험을 통해 얻는 종합상사만이 가지는 종합력을 발휘하여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새로운 분야를 찾는 것도 국내 무역업체에 주는 좋은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혁신기술들은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연결과 공유를 확대케 하여 무역업체들의 미들맨으로서의 중개 기능을 약화시킬 위험도 있으나, 일본 종합상사의 경우 과거 정보통신 기술 혁명 등의 산업패러다임 변화 때와 같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기능과 역할을 발전시키고 제고해 나가면서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점도 국내 무역업체들에 주요 벤치마킹 포인트라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6 | 0.784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