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제3세계 문학론’과 ‘식민주의 비평’의 극복 = Overcoming the Third World Literary Theory and Colonial Criticis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7-283(27쪽)
KCI 피인용횟수
19
제공처
197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제기돼 1980년대 초반 뜨거운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제3세계 문학론’은 1970ㆍ1980년대 비평을 이해하는 핵심적 담론이다.
1980년대 문학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위해서는 1970년대 중반 이후의 문학비평 담론의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 제3세계 문학에 대한 인식으로 한국문학은 라틴 아메라카의 종속심화 독점강화 논의를 한국적으로 재해석 할 수 있었다.
백낙청, 김종철, 구중서 등의 ‘제3세계 문학론’은 한국비평담론의 자생성 획득 과정에서 나온 주목할 만한 논의였다. 민족적 과제에서 더 나아가 ‘연대’의 모색으로 이어진 ‘제3세계 문학론’은 서구중심주의 극복의 과정에서 도출된 것이었고, 더불어 스스로 주변성을 인식함으로써 주체화되어 가는 여정에서 직면하게 된 비평담론이었다. ‘제3세계 문학론’은 민족문학 담론과 결합함으로써 한국적 문학담론의 형성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고, 더불어 폐쇄적 민족주의와 갈등하는 비평이론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불의 시대’라고 일컬어지는 1980년대는 1970년대가 배태시킨 인과론적 결론일 수 있으며 세계인식에 있어 선배 비평가들이 견지하려했던 ‘민족문학과 세계문학’의 긴장사이에서 발생한 인식론적 고투의 소산이다. ‘제3세계 문학론’은 한국비평담론에서 ‘식민주의 극복’의 과제가 한국적 특수성과 밀착된 탈식민적 인식과 연결될 수 있음을 실증했고, 서구 문학에 갇히지 않은 한국문학의 주체성을 예시해 주었다.
The Third World Literary Theory, which had fully dominated the discourse in the mid-1970s and became a hot issue in the early 1980s, is a core discourse in the understanding of criticism in the 1970s and 1980s. There have been two strong tendencies up until recent years: one is to attempt to consider the literature of the 1970s as separate from that of the 1980s, and the other one is to attempt to stress on the specialization of literary discourse as of 1987. In the core of the literary criticism that was prevalent both in the 1970s and 1980s, however, existed the deepening process of national literary theory and the discussion of realism triggered by the Third World Literary Theory.
There are already three different analytical frameworks based on the Third World Literary Theory,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social science: modernism theory, dependency theory, and production mode theory. Particularly, the dependency theory and production mode theory make up the core cognitive structure in the social structure debate in the 1980s.
For an objective recognition of the literature in the 1980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iterary criticism discourse after the mid-1970s in which the recognition of the Third World lay as a universal form of resistance, and as the logic of national independence led by the people intervenes, it has become more revolutionary. The recognition of the Third World has provided us with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the discussion on the deepening dependency and strengthening monopolization in Latin Americ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 Therefore, the realization that Korean society is a post-colonial, state-monopolized capitalist society has become widespread, and the desire for democracy along with the growth of people-consciousness strengthened.
A close and careful discussion is required in the process in which thoughts and discussions by Baek, Nak Cheong, Kim, Jong Cheol, Lim, Hyeon Yeong, and Park, Tae Soon were criticized and substituted by Chae, Kwang Seok, Kim, Myeong In, Baek, Jin Ki, and Hyun, Joon Mans people-led revolution theory. We can, however, realize that the deepening recognition of the Third World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center of the discourse. As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joined the Third World, it could overcome reactionism and provide the basis on which it could join hands with right-wing nationalism. Therefore, the radical ideas led by Chae, Kwang Seok were possible only based on the influence of national literature, realism, and the Third World literary theory that had progressed since the mid- and late-1970s. The 1980s, often referred to as the "era of fire," was the logical outcome of the 1970s, and the universality that existed in the tension between national literature and global literature, the very relationship that critics of the past strived to take as a world viewpoint, was overthrown by the speciality, national independence and people independence, delineated by critics of latter tim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7-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3-2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7 | 0.61 | 1.35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