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대 큰대장간의 노 구조 및 조업방식 복원 시론 —경주 황성동・밀양 임천리 제철유적을 중심으로 = An Essay on the Furnace Structure of Big Smithies for Ancient Iron-making and the Restoration of Operation Methods —Focusing on the iron-making sites of Hwangseong-dong and Imcheonr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6-111(36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re-examined concepts associated with the big smithies that carried out iron-making (refining-smithing and tempering-smithing) in ancient times, which have rarely been discussed, and reviewed such furnac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mongst the iron-making furnaces discovered at archeological sites.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refining-smithing furnaces was reconstructed, based on Furnace No. 2-2 from the Hwangseong-dong 537-2 Beonji site, in Gyeongju, and Furnace No. C-27 from the Imcheonri iron-making site, in Milyang; the structure of tempering-smithing furnaces was reconstructed based on Furnace No. B-2 and No. 11 from Imcheonri, both of which were found in a relatively good condition.
Refining-smithing and tempering-smithing were conducted in big smithies.
Refining-smithing involved much miscellaneous bloomery iron, which was charged into a furnace, and the iron was heated into a semi-melted state or to a higher temperature in order to remove impurities via slags. Irregular flattened iron lumps were formed as a result of the smithing. If the materials had a high carbon content, decarbonizers such as iron ore powder were often added.
Tempering-smithing was a process by which iron lumps were produced through refining-smithing and charged into a furnace. Flat-shaped or bar-shaped semiproducts were produced through heating and smithing.
This study aimed to restore the furnac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s of big smithies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f a limited region over a limited period. Although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ould have been different 고대 큰대장간의 노 구조 및 조업방식 복원 시론 | 111 types of furnaces nationwide, it is possible to postulate the basic types of furnace structures that may have existed and methods of operation,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urnaces and the theories concerning metallic materials presented above. The furnac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reconstructed in this study can be put forth as one example.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논의되지 않고 있는 고대 제철의 큰대장간(정련단야・단련단야)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고고유적에서 조사된 제철로 중 이에 해당되는 노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이 중 잔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주 황성동 537-2번지유적 2-2호 노와 밀양 임천리유적 C-27호 노를 모델로 정련단야로의 구조를, 밀양 임천리 B-2호와 11호 노를 모델로 단련단야로의 구조를 복원하였다.
정련단야로는 반지하식・반지상식 구조가 모두 확인되며, 평면 (타)원형 혹은 말각방형이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좁아진다. 양 측면에 소구경 송풍관 하나씩을 대칭적으로 장착해 바람을 강하게 불어넣었으며, 풀무는 소형의 판재 손풀무를 상정하였다. 다만 두 유적의 노가 서로 다른 점이 있었는데, 하나는배재구와 단타작업장이 설치되고 노벽에 철 성분이 많은 철재가 용착된 반면, 다른 하나는 이러한 시설이 없고 노벽에 부착된 철재에도 철 성분이 거의 없다. 그 차이는 소재에 따른 조업방식의 차이로 해석하였는데, 전자는 탄소 함량이 낮은 괴련철계 잡철을 소재로 하였으며, 후자는 탄소 함량이 높은 선철혹은 선철+괴련철의 혼합철을 소재로 했기 때문으로 추론하였다.
단련단야로는 몸통의 1/2 이상이 지상에 설치되는 반지상식 원통형이며, 노상에서부터 약간 벌어져 올라가다가 중부에서 최대경을 이룬 후 다시 좁아지는 구조로 복원하였다. 특징적인 것은 밀양 임천리유적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노 바닥상면 시설로 잔자갈을 깔았다는 점인데, 자갈면에 적지 않은 철재가용착되어 있어 단야 공정 중 단련단야 기능의 노로 판정하는 데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노의 구조는 큰대장간 공정의 조업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노 구조에 기초해 정련단야・단련단야 공정의 조업방식 복원을 시도해 보았다. 다만 고고자료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민속학 자료와 현대금속학 이론, 전문장인의 노하우 등을 도움자료로 활용하였다.
본고에서는 한정된 시기・지역의 고고자료를 대상으로 큰대장간의 노 구조와 조업방식 복원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는 이와 다른 여러 유형의 노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전술한 노의 구조적 특징과 금속재료학 이론 등으로 보아 노의 구조 및 조업방식에는 기본적인 유형 내지 매뉴얼을 상정할 수 있으며, 본고에서 제시한 노 구조와 조업방식이 그 하나였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9 | 1.49 | 1.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2 | 1.4 | 2.51 | 0.3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