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단눈치오의 『쾌락』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요소 = Gli elementi surrealistici ne Il Piacere di D’Annunzio
저자
발행기관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Associazione Coreana Di Letteratura e Linguistica Italiana)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88(2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Nel suo primo romanzo, "Il Piacere", ha notato un cambiamento mentale nel mondo interiore della realtà evasiva del protagonista. Questo spazio pittorico rivela la psicologia del personaggio principale ribaltando attraverso l'interpenetrazione del testo e dell'immagine. Questo è molto simile alla tecnica della fase dépaysement della rete per ricreare una nuova immagine nascosta dietro l'oggetto ricostruendo lo spazio delle tecniche di pittura surrealista in seguito. In questo articolo, studiamo il termine dépaysement e scopriamo che il significato di questo termine non è limitato alla pittura, ma anche che è stato usato recentemente in letteratura o in teatro. Attraverso questa tecnica non familiare, lo smontaggio e l'analisi dei lavori aiuteranno a capire le caratteristiche difficili della letteratura sulla decadenza e inoltre si può trovare la connessione con il futurismo. In questo lavoro, la tecnica net dephase emerge come una nuova immagine visiva nata dalla fantasia dell'artista e da un elemento surreale in cui lo spazio viene ricostruito. La realtà del surrealismo può essere vista come un'estensione della realtà.
더보기단눈치오는 그의 첫 장편 소설 『쾌락』에서 주인공의 현실 도피적인 내면세계의 정신적인 변화를 사물에 비추어 회화적으로 재구성했다. 이 회화적 공간은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침투를 통한 전복으로 주인공의 심리를 드러내고 있다. 이것은 후에 초현실주의 회화 기법의 공간 재구성하기를 통해 사물의 이면에 가려진 새로운 이미지를 재창출하는 데페이즈망 기법과 매우 유사하다. 이 논문에서는 데페이즈망이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고 이 용어의 의미가 단지 회화에 국한되지 않고 문학이나 단눈치오의 작품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고 있다.
이 작품에서 데페이즈망 기법은 작가의 상상력에서 탄생한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와 공간이 재구성되는 초현실적인 요소로 나타난다. 초현실주의의 현실 부정은 현실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다. 부르통은 실재계라고 말하는 현실의 객관성이 욕망의 주관성과 종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를 통해 진정한 세계에 다가갈 수 있다고 믿었다. 이때 겉으로 보기에 상반되는 꿈과 현실은 초현실로 해소된다고 보았다. 이 꿈과 현실이 종합되는 지점을 ‘정신의 한 점’으로 보고 이를 통해 현실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자 했다. 데페이즈망은 이성의 산물이 아니라 이성이 사라진 무의식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무의식의 상황에 대한 분석은 데페이즈망 기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데페이즈망 기법은 분열과 혼란의 현실을 통해 인간이 진정한 현실에 눈뜨게 되는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관습적 삶이 요구하는 질서를 부정한 초현실주의자 부르통처럼 단눈치오는 예술가는 상상력과 자유로운 정신을 통해 예술적 경지에 오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존재와 사물 간에 거리를 좁히기는 죽음에서 삶으로 파괴에서 재구성을 이루었다. 이러한 풍경의 내면화는 나와 세계, 나와 타자 간의 단절된 시대에 살고 있는 오늘날 우리 시대에 이러한 단절을 이어줄 수 있는 새로운 출구를 보여 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단눈치오가 이탈리아와 유럽의 모든 사조들을 수용하고 전하는 중요한 길목에 서 있는 작가인 만큼 초현실주의 관점과의 비교 연구는 향후 미래주의와의 연관성을 찾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3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이어이문학회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 KCI후보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이어이문학 -> 이탈리아어문학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4 | 0.14 | 0.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9 | 0.08 | 0.303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