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통과 담론 -전망적 요청을 겸한 단상- = Tradition and Discourse: including the propo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어문논집(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7-417(21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지금 전통담론은 그 계보학적 탐색과 진단을 요청받고 있다. 전통은 과거의 특정 역사를 의도적으로 불러낸 결과이다. 특정 공동체가 정체성과 관련하여 어떤 문제에 봉착했을 때, 대개는 과거의 기억들을 불러내고, 그 시간적 간격을 메워 불멸성, 말하자면 하나의 연속적인 자아를 상상한다. 이처럼 과거의 기억들로부터 호출되어 나오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 전반을 전통이라 할 수 있다. 전통이란 과거의 기억을 불러내어 민족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려는 욕망의 표현, 곧 현재적 필요에 따라 상상된 문화의 총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역으로 우리는 항상 ‘전통의 호출’ 혹은 ‘전통의 발명’을 통해 끊임없이 현재로부터 부과되는 질문들에 답을 찾고 있는 셈이다. 각종 포스트주의들이 난무하는 21세기 이 개명한(?) 세상에서 과거의 전통담론들에 고착되어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는 현실은 그야말로 아이러니적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우선 특정 정치 체제나 세력이 어떤 이유로 특정의 역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가에 대한 해명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리고 소외되고 망각된 과거의 기억을 다채롭게 불러내고, 하나의 근대적인 동일성의 차원이 아니라 다성적(多聲的)이면서도 중층적인 정체성에 대한 탐색 작업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통문화에 대한 맹목적인 예찬의 배후에 심각한 열등감이 놓여 있지 않은지, 혹은 그 보상을 위해 무작정 상찬의 길로 달려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냉철하게 성찰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성찰 위에서 추진해야 할 과제는 다음 세 가지다. 첫째, 전통이 단순히 과거의 잔재가 아니라 현재의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문화 권력, 곧 하나의 담론이거나 담론일 수 있다는 사실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담론의 생산과 유통, 소비의 역사적 과정과 그 기능에 대해 물음으로써, 전통을 공부하는 것이 이데올로기적 행위일 뿐 아니라 근대 이후 권력으로서의 자본의 지배와 그것의 역사를 재생산하고 공고화하는 작업이지 않은가 끊임없이 성찰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전통이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의한 왜곡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한 하버마스J. Habermas의 견해에 굳이 기대지 않더라도, 비로소 전통이 유의미한 자리와 위상을 갖게 될 것이다. 요컨대 전통에 대해 자유롭고도 격렬하게 비판을 가함으로써, 그 내부에 항상 토론의 여지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이다. 둘째, 그 동안 불온하게 주입된 기억에 균열을 내는 한편, 강요된 망각의 장막을 걷어내는, 기억의 전쟁이라고 할 수 있는 싸움을 시작해야 한다. 전통담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배담론에 대항하는 여러 기억counter-memory들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깊이 성찰하고, 그것들을 적극 되살려내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셋째, 아래로부터의 관점을 다시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소수자의 존재와 그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이너리티는 주류 다수자의 기득권 체제에 구멍을 내고 그것을 무너뜨려 바꾸려는 비주류 저항?도전 세력이다. 차이를 동반하며 영원회귀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들 역시 차이를 동반하며 반복 등장한다. 이처럼 기성체제를 근본적으로 무너뜨리면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는 소수자 되기야말로 진보의 토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눈 여겨 보아야 할 것이 서발턴Subaltern 개념이다. 과거의 기억들로부터 호출되어 나오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 전반인 전통의 속성과 관련하여, 그리고 전통담론의 해체와 그 전망을 모색하려는 향후 과제를 놓고 볼 때, “헤게모니적 담론을 위기로 몰아넣는” 전략의 거점이 될 수 있는 서발턴의 시각을 전통 논의에 적극 도입해 보는 것은 여러 모로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Now the traditional discourse is made a ask for genealogical diagnosis. The tradition is the result of intentional interpretation of the past. When a community is faced at a crisis of identity, it invokes the memory of the past and images a successive ego. Namely the tradition is the expression of the desire which reconfirms national identity by invoking the memory of the past, or is `imaged wholeness of the culture` by made in the need of the present. Thus if we have a fixed idea of the past traditional discourse in a wild dance of the various `post-ism`, it must be the very ironic situation. Here is our starting point. We ought to seek our new perspective, and it will be a application of Subaltern in the study of the tradi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6 | 1.16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2 | 1.779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