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계보위축변천과정, 왕호신구 토픽 그리고 『환단고기』 신 진위검토방법(2) -환인환국-환웅대인국-삼조선병행 계보- = The Topos called both New and Old Titles of the King and Deflation Interpretation of Dynasty’s Lineages and New Evaluative Method for HwandanGogi. -Successors of (1) Hwanin, (2) Hwanwung Giant, and (3) Gojocheon-
저자
박병섭 (퀸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1-291(71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1. 고구려 건국신화는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광개토왕비문」, 『삼국사기』, 『삼국유사』, 그리고 「동명왕편」에 나온다. 우리는 『삼국사기』고구려 주몽왕 편에서 해모수, 그리고 해부루를 만난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해모수는 오룡거를 타고 홀승골성에 도착해북부여를 건국한 천왕이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해부루는 해모수의 아들이고, 처음에 북부여의 왕이다가 상제의 명으로 가섭원으로이주해서 동부여의 왕이 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북부여의 구도에는 자칭 해모수왕이 왔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주몽은 해모수와우발수의 유화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제까지 『삼국사기』에서 해모수는 한 명으로 간주되었다. 나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교한후에 고구려사 속에 적어도 세 명의 다른 해모수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제까지 『삼국사기』 고구려사에서 동명은 한 명으로 간주되었다. 나는 『후한서』 및 『삼국지』의 부여조와 『삼국유사』를 비교한 후에 고구려사에서 동명이 적어도 두 명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나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교한 후에 북부여 구도의 해모수를 졸본부여의 동명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제까지 『삼국사기』 고구려사에서 해부루는 한 명으로 간주되었다. 나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비교해서 적어도 세 명의 해부루를 발견하였다. 나는 북부여와 동부여의 왕 해부루가 한 개인 왕명이 아니라 왕호라는 것을 알았다. 나는그 후 해모수, 동명, 그리고 해부루가 단지 개인 왕 이름일 뿐 아니라또한 왕호라고 결론 내렸다. 나는 고구려 주몽왕이 고유명이자 신왕호로서 주몽을 가지고 있고 구왕호로서 동명을 가지고 있으며, 졸본부여 동명왕이 고유명이자 신왕호로서 동명을 가지고 있고 구왕호로서 해모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이 신구 왕호 토픽의 병행 호칭법이다. 이것이 한국고유철학의 주제 중의 하나이다.
2. 한국사의 자료 해석방식에는 축소해석과 확장해석이 있다. 사서가 「광토개왕비문」, 『삼국사기』, 『삼국유사』, 그리고 「동명왕편」으로시간이 갈수록 북부여, 동부여, 졸본부여, 그리고 고구려의 역사가 축소된다. 『후한서』와 『삼국지』의 부여조와 『삼국유사』를 비교해 보면,동명왕은 두 번 건국했다. 『삼국사기』와 「광개토왕비문」을 비교해보면, 고구려 주몽은 세 번 건국했다. 주몽의 건국이 「광개토왕비문」의 첫 번째 건국에서 『삼국사기』의 세 번째로 변하자, 졸본부여의 동명왕의 이 단계 건국 전승과 북부여 해모수왕의 건국 전승이 축소해석 되고, 때때로 신구 왕호 토픽 병행 호칭법 때문에 주몽 건국 속에사라져 버렸다. 이것이 왕 계보 의식과 역사의 축소해석이다. 한국인이 한자와 한국전통철학, 그리고 중국사를 연구한 것은 축복이었다.
그러나, 한국 전통철학과 중국사를 연구하면 할수록 한국사는 확대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축소해석되어 왔다. 이것들은 부작용이다.
3. 그러나 한국인 학자들과 과학자들이 한국현대철학을 연구했지만,『환단고기』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광개토왕비문」, 『삼국사기』, 『삼국유사』 그리고 「동명왕편」의 북부여, 동부여, 졸본부여 그리고 고구려의 전승에서 세 명의 해모수, 두 명의 동명, 그리고 세 명의 해부루를발견하지 못했다. 『환단고기』는 북부여기에서 북부여와 졸본부여를다 ...
1. The founding myths of Goguryeo are related in ancient Korean texts, with slight variations, including the Gwanggaetostele, the SamgukSagi, the SamgukYusa, and the DongmyeongWangpyeon of the DonggukIsanggukjip (by YiGyu-bo). We Koreans have faced “Haemosu” and “Haeburu” in the King “Chumong” story of “Goguryeo” in SamgukSagi. According to SamgukYusa, Haemosu is the king of heaven, riding in achariot of five dragons, arriving at Holsenggolseong to establish Bukbuyeo (North Buyeo). According to another story of SamgukYusa, “Haeburu” {who is the prince of the Heaven King “Haemosu” of Bukbuyeo (North Buyeo)}is the first King of DongBuyeo (East Buyeo). According to SamgukSagi,Haeburu, by order of the King of Heaven, after moving to the new capital of Gasepwon, became the new founder King of Dongbuyeo (East 284 仙道文化 제 10 권Buyeo), and then the name of 3 other Kings “Haemosu” came from the old capital of BukBuyeo (North Buyeo). According to SamgukSagi,Chumong is described as the son of “Haemosu” (the prince of heaven)and Yuhwa (daughter of the river god Habaek) of Ubalsu. Until now, we believed that there was only one Haemosu in “Goguryeo” foundation history of SamgukSagi. After comparing SamgukSagi with SamgukYusa, I find that there are really three king Haemosus i.e. the first king “Haemosu” of North Buyeo, the second king “Haemosu” of the former Capital city of Bukbuyeo (North Buyeo), and the third king “Haemosu”of Ubalsu, Samguk Goguryeo people always considered there was only one person with the same name. Until now, we also believed that there was only one Dongmyeong in Goguryeo foundation history in SamgukYusa. I now differenciate Dongmyeong of Jolbon Buyeo from Dongmyeong of Goguryeo, after comparing SamgukYusa with Buyeo in History of the Later Han (simplified Chinese: 后汉书; traditional Chinese: 後汉书; pinyin:hòuhànshū; Wade-Giles: Hou Han Shu) & Records of Three Kingdoms (simplified Chinese: 三國志; traditional Chinese: 三國志; pinyin: SānguóZhì). After comparing SamgukSagi with SamgukYusa, I identified Haemosu of the former Capital city of North Buyeo as Dongmyeong of Jolbon Buyeo. Until now, we believed that there was only one Haeburu in “Goguryeo” history of SamgukSagi.
Now I recognize at least three Haeburus among one Haeburu of East Buyeo, another Haeburu of the same as King Youngpumli of Bukbuyeo (North Buyeo), the third Haeburu of one King both of Bukbuyeo (North Buyeo) and ancestor of King Biru of Baekje in both SamgukSagi and SamgukYusa. I realized that King “Haeburu” of BukBuyeo (North Buyeo)and DongBuyeo (East Buyeo) was not one personal King name but was 285계보위축변천과정, 왕호 신구 토픽 그리고 『환단고기』 신 진위검토방법(2)ㆍ박병섭the new title name of King. Then I concluded that Haemosu,Dongmyeong and Haeburu is not only the personal King name but also the title name of King. It can be seen that king “Chumong” of Goguryeo was called one personal name and the title name of the King Chumong and another old title name of king Dongmyeong, and king “Dongmyeong” of Jolbon Buyeo have been called one personal name and same new title name of king Dongmyeong and another old title name of king Haemosu. These are subjects of Korean Original Philosophy and history of ancient Korea.
2. Comparing records of Gwanggaetostele, SamgukSagi, SamgukYusa, and DongmyeongWangpyeon of DonggukIsanggukjip (by YiGyu-bo), delay time foundation histories of Bukbuyeo (North Buyeo), DongBuyeo (East Buyeo), Jolbon Buyeo, and Goguryeo reproduced on a reduced scale.
From comparing articles “Buyeo” in History of the Later Han (simplified Chinese: 后汉书; traditional Chinese: 後漢書; pinyin: hòuhànshū; Wade-Giles: Hou Han Shu) and Records of Three Kingdoms (simplified Chinese: 三國志; traditional Chinese: 三國志; pinyin: Sānguó Zhì ) with SamgukYusa, it can be seen that King D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5-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4-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 |
2006-11-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2 | 0.996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