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칸트철학과 소통의 문제 = 아렌트의 칸트 '반성적 판단력'과 '공통감' 해석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5-109(2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판단력비판』은 미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미를 판정하는 능력, 즉 취미판단의 문제를 다룬다 칸트는 『판단력비판」 에서 자연과 자유를 조화, 소통시키고자 한다‘ 칸트는 자연과 자유의 심연을 연결시킬 수 있는 근거로서 반성 적 판단력을 도입한다. 동시에 미적 판단이 주관적 , 단칭적임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보편성과 필연성을 획득할 수 있는가를 탐구한다 반성적 판단력은 보편자가 주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특수자에 알맞은 보편자를 스스로 구성하거나 발견하는 능력이다. 아렌트는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에 근거해서 자신의 철학을 새롭게 확립한다 아렌트는 개인과 타자 사이의 대립을 반성적 판단력의 취미판단의 기능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아렌트는 모든 이해와 판단은 주관적이지만, 그럼에도 주관성을 넘어서 객관성을 지향한다고 한다. 이해와 판단을 상실하는 것은 곧 각자의 주체성과 보편 지향성을 상실한 것이 된다 아렌트는 상상력에 바탕한 예술이 정치 영역에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예술과 정치는 공적 세계의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취미판단과 마찬가지로 정치판단 역시 개인에게 보편성을 강요해서는 안된다. 정치는 보편 타당성을 강제하는 논리적 추론에 바탕을 두어서는 안되며, 상호주체성을 인정하는 미 감적 공통감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아렌트는 정치 영역을 이성적, 철학적 태도로 접근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이성적 접근은 인간의 기 본 조건인 복수성의 파괴로 귀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렌트는 인간조건의 모든 측면들이 다소 정치에 관련되지만,특히 다원성은 모든 정치적 삶의 필요조건일 뿐만 아니라 가능조건이라는 의미에서 절 대적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측면에서 다원성, 복수성을 파괴하는 이성적, 철학적 접근방식을 거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통감에 근거할 때에만 다른 사람들과 판단을 공유할 수 있다. 아렌트가 칸트미학에 근거해서 정치 판단이론을 전개한 것을 정치의 미학화라고 비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작업이 소통을 중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Kant’s Critique of Judgement doesn’t deal with the problem for essence of beauty, but for the ability to judge beauty, for judgement of taste. In Critique of Judgement Kant tries to communicate, to harmonize between nature and freedom. Kant introduces the reflective judgment in order to connect an abyss between nature and freedom. He researches into the problem "how can aesthetic judgments have the universality and necessity even if aesthetic judgments are subjective and singular." Reflective judgments has the ability to construct and to find the universal law in the particular when the universal law is not given. Arendt establishes her philosophy on the basis of Kant’s reflective judgments. Arendt tries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other people through the reflective judgments. All the understandings and judgements are subjective, but nevertheless they aim at objectivity. Not to have the understandings and judgements for men means not to have their identities and universal intention for men Arendt thinks that art on the ground of imag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olitical field, and that art and politics are important elements for the public world. Judgements of taste and political judgments should not be forced to universality to the people‘ Politics should not be based on logical reasoning which forces universal validity upon the people, it should be based on common sense of .aesthetics which recognizes mutual identities Arendt thinks that we have nor to approach the political field with rational, philosophical attitude. Rational, philosophical approach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it destroys plurality as the basic condition of human being Arendt thinks that all the parts of the human conditions are connected with politics, especially plurality is an absolute condition for human life. In this respect, we must reject the rational, philosophical approach to political judgements. Therefore only on the basis of common sense, you can share political judgements with other people. We can criticize her political theory on the basis of aesthetics because her theory makes politics aesthetics. However her work has positive values in the sense of making much account of communic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984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