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의미 = The Methods and Significance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 the Focus on the Course For the Students in the Ar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4(28쪽)
제공처
이 글은 예술계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술적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예술계열 학습자의 특성과 학술적 글쓰기 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예술계열 학습자는 다른 계열 학습자에 비해 전공영역에 대한 지식을 많이 축적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와 함께 예술계열 학습자는 학술적 글쓰기에 대해 낯설어하는 모습을 보인다. 때문에 교수자는 학술적 글쓰기가 예술계열 학습자가 전공영역에서 하는 작업과 큰 틀에서 유사하다는 점을 주지시키고, 관련 내용의 지문이나 사례를 활용함으로써 수강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자가 글쓰기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학술적 글쓰기의 수업 과정에서 예술계열 학습자가 주로 보이는 오류는 다음과 같다. ‘소논문 쓰기’ 수행 과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개인적인 경험에 의존한 연구대상 선정과 연구방법 마련의 어려움이다. 전공영역이 대중문화와 친연성을 띤 예술계열 학습자의 경우 다른 계열 학습자에 비해 사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대상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교수자는 학습자가 연구대상을 거리를 가지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유도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문제의식을 지니고 소논문의 주제를 선정하고도 연구 방법을 찾는 것을 어려워 해 문제의식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내지 못하는 경우가 발견되는데,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자의 전공분야 지식을 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는 것을 통해 학습자의 생각을 구조화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소논문 쓰기’의 단계별 과정으로 학습자의 소논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찾아 이를 읽고 논문평을 쓰는 ‘서평 쓰기’를 할 때, 예술계열 학습자에게 주로 나타나는 문제점은 대상이 되는 논문을 찾는 것을 어려워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교수자는 서평을 쓰기 위한 적절한 선행연구를 찾기 위해 연구대상, 연구방법론, 연구주제의 다양한 측면을 키워드로 설정해 대상 논문을 찾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계열의 특성을 고려해 학술적 글쓰기 지도 방안을 고민하는 것은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한 축을 이루고 있는 학습자를 고려하는 것이기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사고력과 표현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수업에서도 계열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제도가 마련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예술계열 학습자의 글쓰기 지도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Methods and Significance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with the Focus on the Course for the Students in the Arts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for the students in the ar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their issues during the course of academic writing, and to suggest an instructional direction.
The students in the art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other subjects of study by their sufficiency of knowledge in their fiel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are very challenged in academic writing. Therefore the instructor needs to emphasize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work and academic writing, and to employ relevant reference and examples so as to evoke the motivation and positive perception towards academic writing.
The major issue that the students in the arts encounter during the course of academic writing is to select the subject on the basis of personal experience and to have difficulty in finding an appropriate methodology while writing an essay. Students in the arts tend to find their subject in personal level. The instructor should lead them to keep the distance from their subject and to analyze it with an objective perspective. If it is challenging to find a right methodology and hence to explain the main question in a logical sense, the instructor may guide them to conjure up their thoughts by applying the knowledge of their major to the methodology.
When required to write a review on the previous study related to their essays, the students often find it difficult to select appropriate articles. In this case, the instructor can suggest a variety of key words in subject, study methods, and topic in order to show them the direction.
In the writing education, the discussion on the proper instruction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departmen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it provides better consideration on the students who takes an important part of the writing educ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