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50∼60년대 해학론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 = A Study on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Theory of Humor in 1950-60’s
저자
이만영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3-90(2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 논문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해학(諧謔, Humor/Humour)’이 중요한 문학적 특질로 부상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주지하듯이 1950〜60년대에는 한국문학적 전통에 관한 비평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바, 그 과정에서 새롭게 부상했던 개념이 바로 해학이었다. 그에 따라 1950〜60년대에 제출되었던 해학론의 전개 양상과 그 특징을 살펴보고, 당대 문인들이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한국문학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하고자 했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195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부각된 ‘해학’ 개념은 고전문학과 근대문학을 매개해주는 개념어로 간주되었다. 백철은 ‘해학’과 같은 전통적 가치가 고전문학과 근대문학을 접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였고, 그 인식에 기반하여 정병욱, 신윤상 등과 같은 고전문학자들은 해학이 가진 전통적 특질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 그에 더해 김사엽과 이어령은 해학 개념의 체계적 정립을 시도하여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대두된 해학론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1960년대 들어서면서 ‘해학’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주요하게 논의되었다. 첫째, ‘해학’은 한국문학의 특수성뿐만 아니라 세계문학적 보편성을 내포한 주요한 특질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1954년 국제펜클럽(International PEN) 가입, 1968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상 수상, 그리고 1970년 <동서문학의 해학(Humour in Literature - East and West)>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제37차 서울 국제펜대회 등의 사건적 계기를 통해 점차 공고화되기에 이른다. 둘째, ‘해학’은 반공 및 냉전이라는 국내외의 정치적 역학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문학적 자질로 호명되었다. 동구권 국가가 다수 참여했던 제37차 서울 국제펜대회의 의제를 ‘해학’으로 설정하고, 이 시기에 해학을 통해 양극화된 세계가 ‘융화의 세계’로 전환될 수 있다는 주장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도 바로 그 이유 때문이다.
이처럼 1950〜60년대의 해학 개념은 고전문학과 근대문학의 단절, 한국문학적 특수성과 세계문학적 보편성과의 거리, 반공 및 냉전이라는 국내외의 정치적 역학 등의 문제를 일소하는 기제로 두루 활용되었다.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explore how the theory of humor (諧謔) had become prominent as important literary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s everyone knows, the Korean literature tradition was critically discussed in depth in 1950-60’s and that’s when the new concept, humor had a mo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the theory of humor developed, and its characteristics as suggested in 1950-60’s and find out how the literary set tried to identify Korean literature back then based on discussion.
The ‘humor’ which came to the forefront from mid-1950’s was considered as a concept word that mediates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Baek Chul strongly believed that the traditional value like ‘humor’ can integrate classical literature with modern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writers like Jung Byung-wook, Shin Yun-sang attempted to restor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umor accordingly. In addition, Kim Sa-yeob and Lee O-young tried to arrange the concept of humor systematically and established a theoretical foothold for the theory of humor which became prominent since 1960’s.
The ‘humor’ was discussed in two primary aspects after 1960’s. Firstly, the ‘humor’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characteristics that embrace specificity of Korean literature but also universality of the world literature. Such recognition became stronger with some events: joining International PEN in 1954, Nobel Prize in 1968 awarded to Yasunari Kawabata, and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in Seoul held and titled <Humour in Literature - East and West> in 1970. Secondly, the ‘humor’ was thought as literary talent essentially required to overcome political dynamics in the country and abroad such as anticommunism and cold war. The agenda of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in Seoul in which many eastern countries engaged in was set as the ‘humor’ and it explains why many argued that the polarized world can turn into ‘the world of harmony’ through the humor.
As explained above, the concept of the humor in 1950-60’s was used widely used as a mechanism to settle problems arising from discontinuity between classical and modern literature, distance between specificity of Korean literature and universality of the world literature, and also political dynamics in the country and abroad such as anticommunism and cold war.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879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