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가족생애주기의 변화: 1987년 공세권 연구와의 비교 = The Changes in Family Life Cycle: A Comparison to Gong Se Kwon (1987)’s Analys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4(24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family life cycle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econcept of family life cycle provides an analysis framework from a family developmentalperspective. It allows to explore how macro demographic changes are translated intostructural and developmental changes at family level. In spite of importance in familyand demographic research, few studies have examined recent trends of the family lifecycle with empirical data with an exception of Gong (1987). Gong collected data from3,013 married women and divided them into six marriage cohorts from 1935-1944 to1975-1984 in a ten year interval. He identified six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stage1: formation, stage 2: expansion, stage 3: end of expansion, stage 4: reduction, stage 5:end of reduction, and stage 6: dissolution) and estimated the mean duration of each stageby the marriage cohorts.
This study employed the Gong(1987)’s analysis and updated it by applying to morerecent marriage cohorts of 1985-1994, 1995-2004, and 2005-2007. Using Korean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e selected 7,730 married women anddivided them into six marriage cohorts from 1958-1964 to 2005-2007 in a ten yearinterval. From the analysis, I found several important results with respect to changes inthe family life cycle. First, the duration of the whole family life cycle has expanded sincethe Gong’s cohorts due to the lengthened life expectancy. However, the proportion ofthe family life cycle out of the entire individual life span has been reduced. Second, theduration of stage 2 has been steadily reduced and the duration of stage 3 has beenlengthened. Third, the duration of stage 4 has been reduced and the duration of stage5 has been expanded. Fourth, the duration of stage 6 has increased up to the 1985-1994marriage cohort and then decreased beginning the 1995-2004 marriage cohort. Last, thosewho do not follow the family life cycle such as the divorced and remarried have increased.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structural aspect of family has been steadily changed dueto aging, low fertility, and delayed marriages. These changes not only influence familyrelations and life but also modify individual life courses. Demographic policies and familypolicies need to take these changes into account in centenarian era.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에 따른 한국가족의 발달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공세권(1987)의연구틀을 빌어 결혼코호트별로 가족생애주기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세권은 「한국의 가족생활주기조사」를 통해 15-64세 기혼여성 3,013명을 대상으로 1935-44년 결혼코호트부터 1975-85년 결혼코호트까지 가족주기 6단계(형성기, 확대기, 확대완료기, 축소기, 축소완료기, 해체기)의 구성비율과 구성시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7,330명의 기혼여성을 1958-84년, 1985-94년, 1995-04년 결혼코호트로 구분하여 공세권 연구 이후의 가족생애주기 변화를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가족생애주기의 절대적 시간은 연장되었고, 가족생애주기가 개인의 생애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였다.
둘째, 자녀수가 감소함에 따라 확대기에 소요되는 시간은 단축되었고, 확대완료기는 연장되었다. 확대완료기가 연장되었다는 것은 가족의 구조적 변화가 없는 안정적 시기가 연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축소기는 단축되었고, 축소완료기는 연장되어 부부 두 사람만 생활을 공유하는 시기는 연장되었다. 넷째, 지속적으로 연장되어오던 해체기가 1985-94년 결혼코호트부터는 단축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가족의 구조적 변화는 압축적으로 진행되는 반면발달적 변화는 더 장기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가족관계와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것으로 예측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 | 1.41 | 1.785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