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영화 〈박쥐〉에 나타난 욕망의 양상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85-406(22쪽)
제공처
이 논문의 목적은 영화〈박쥐〉의 등장인물 태주, 상현을 통해 성적 욕망, 생존에의 욕망, 윤리적 욕망 등 세 층위를 설정하여 인간의 욕망을 탐색해 보려는 데에 있다.
욕망이라는 것은 인간과 동물 모두를 포함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것은 삶의 동력이 되면서 때로는 괴로움의 근원으로 자리 잡게 된다. 보통 욕망은 충족되면 행복함을 느끼게 되지만 그렇다고 하나의 욕망이 지속적으로 충족되기는 어렵다. 또 다른 욕망이 부각되면서 끝없는 욕망의 요구가 반복된다. 때문에 욕망의 충족이 약화된 후에 상실감을 느끼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영화〈박쥐〉에서는 이같은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화〈박쥐〉에서 성적 욕망, 생존에의 욕망, 윤리적 욕망 등 세 층위를 설정하면서 연구자는 르네 지라르의 삼각형의 욕망을 대입시켜 인물이 지니고 있는 욕망의 왜곡됨을 살펴보았다. 삼각형의 욕망은 욕망의 주체와 중개자 사이에는 경쟁관계가 있는데, 만약 경쟁관계가 있지 않다면 이들은 아직까지는 행복한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한다. 영화〈박쥐〉에서도 역시 상현과 태주를 통해 인간의 욕망이 자율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욕망과의 만남 내지는 모방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타자를 통해 형성된 욕망은 자신의 진정한 욕망이 아니라 대체된 욕망으로서의 역할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성을 가질 수 없음도 이 논문에서는 함께 밝히고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상현이 가지고 있는 피에 대한 욕구를 생존에의 욕망으로 살펴보았다. 생존에의 욕망은 물질적 부에 대한 탐욕으로 상현이 뱀파이어로 전환되면서 점차 강경한 힘을 갖게 되는데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물질적 부를 축적할 수 있는 능력자와 동일시 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하지만 상현은 생존에의 욕망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먹는 것에 대한 금기를 만들어 놓고 있다. 때문에 자신을 절대적인 선에 비추어 자책하면서 자신도 별반 다르지 않은 인간에 불과하다는 것을 스스로 확인한 다음에 살기를 포기한 자로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현의 행위를 선한 의지의 행위로서 순교의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이 논문에서는 상현이 자살로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아무 것도 없는 무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 보았다. 또한 그것은 상현이 마지막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초월에의 욕망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ree layers of humane desire that is sexual desire, desire to survive, ethical desire through the Taeju, Sanghyun who is character in the Thirst. Both human and animal has the desire, and thus it makes the engine go and the root of suffering. The desire is usually satisfied, feel happy, but one desire is difficult to satisfy sustainedly. It is being magnified as another desire, repeated endless string of desires. Thus, Thirst shows the process that felt a sense of loss when desire satisfied. I determined distortion of desire that character of the Thirst has, with set up the three layers which is sexual desire, desire to survive, ethical desire through the Rene Girard's desire of triangle. Rene Girard interprets the desire of triangle that is subject of desire is in competition with intermediary, were it otherwise they are still happy. The characters Taeju, Sanghyun in Thirst show what humane desire doesn’t just voluntarily occur, it does occur through meeting or imitating with desire of others. I also address the desire by others did not last, because it is not for the ‘real desire’ but rather for the ‘superseded desire’.
Next, I interpret appetite for blood of Sanghyun to mean that Sanghyun has the desire to survive. The desire to survive gradually had tough power by Sanghyun change the vampire, and it means that can equate a capable person who has amass material possessions in capitalist societies. As he has the desire to survive, Sanghyun sets up the taboo about eating by himself. This causes him to blame himself according to the absolute good, and after verifying that he is also merely a man he gives up his life. This kind of Sanghyun's behavior can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martyrdom. However, this behavior can be seen in a different way: his suicide means that he can return to nothing. It is also a desire to transcend that he would like to pursue final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