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방정부 인권제도 운영 10년에 대한 평가와 과제 -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5-270(3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2021년 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지방자치단체 243개 중 119 곳에서 인권기본조례를 제정하였 으며 인권기본조례를 제정한 대부분의 지방에서 여러 유형의 인권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인권 전담 부서 등을 설치⋅운영하는 지방정부에서는 인권실태조사, 인권기본계획 수립, 인권영 향평가, 인권지표 마련 등 인권정책을 수행하고 있고, 인권교육 및 홍보, 인권 관련 다양한 행사 개최 등을 통하여 각 지역에 인권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지방정부에서 인권기본조례 제정을 필두로 인권제도가 도입된 지 10여 년이 지나는 즈음에, 인권제도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성과를 평가해 볼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제도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 분석 및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지방정부의 인권제도 구축 과정에 있어서, 인권기본조례 제정이나 인권 관련 기구 설 치⋅확장 등 외형적⋅양적 성장도 중요하지만, 그 제도가 실효성을 갖추고 내실 있게 운영되고 있는지 여부를 진단하고, 긍정적 발전을 위해서 재고해야 되는 요소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진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전라북도의 인권제도 운영 사례는 대한민국 지방정부 사례 중에서 비교적 모범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으며, 지방정부 인권제도 발전사에서 상당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전라 북도 인권제도 운영 경험 진단을 통해 발견된 것은 여전히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보완할 대책이 매우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는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지난 10여 년 동안의 지방정부 인권제도 의 발전사를 진단해 보고자 한다. 특히 전라북도 인권제도 발전 양태를 구분하여 인권규범, 인권 기구, 인권정책, 그리고 인권문화의 확산의 측면에서 분석을 하는 한편 각 단계가 다른 단계를 긍정적으로 견인해 내는 선순환적 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 로 하여 전라북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지방정부에 내재되어 있는 인권제도의 문제점을 공유하 고, 바람직한 대안으로서 인권제도 발전 방향과 인권 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안하고 있다.
더보기As of the end of 2021, 119 out of 243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enacted basic human rights ordinances, and most regions that have enacted basic human rights ordinances operate various types of human rights systems. Local governments, which establish and operate human rights departments, are carrying out human rights policies such as investigating human rights, establishing basic human rights plans, evaluating human rights impact, and preparing human rights indicators, and spreading human rights culture in each region. More than a decad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human rights system, led by the enactment of the basic human rights ordinan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human rights system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local government’s human rights system, external and quantitative growth, such as enacting and expanding basic human rights ordinances and human rights-related organizations, is also important, bu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whether the system is effective and sound. Comparing the experience of operating the current local government’s human rights system, the case of Jeollabuk-do is considered a relatively exemplary case, an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human rights system.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local government human rights system over the past decade, focusing on the case of Jeollabuk-do. I would like to argue that each stage shows a virtuous cycle of positively driving different stages while analyzing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e Jeollabuk-do human rights system in terms of human rights norms, human rights organizations, human rights policies, and the spread of human rights culture. Based on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share the problems of the human rights system inherent in not only Jeollabuk-do but also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human rights governance as a desirable alternativ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412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