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 대치수술 후 감염 양상과 위험인자 = Clinical Presentation and Risk Factors for Prosthetic Joint Related Infections
저자
박기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유철웅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신성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윤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희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우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민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승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1-220(10쪽)
제공처
목적 : 인공관절 수술 후 감염이 발생하면 치료가 어려워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를 필요로 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인공관절을 제거해야 되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수술 후 감염의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나 수술 후 감염증의 빈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가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관절 대치수술 후 인공관절 감염의 발생 빈도와 임상상, 감염의 위험인자, 예방적 항생제 사용 현황을 알아보고 수술후 감염예방을 위한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1994년 3월부터 1997년 2월가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인공 고관절 대치술이나 인공 슬관절 대치술을 시술받은 2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검색을 통하여 수술 후 감염이 발생한 환자군과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을 비교하였다.
인공관절의 감염이 있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감염의 발생빈도, 임상 증상, 원인균, 항생제 사용기간, 치료 및 예후를 조사하였고,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인자에 대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206명의 환자 중 감염에 이환된 환자는 22명으로 수술 후 감염률은 10.6%이었으며, 인공 슬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의 20.8%(11명/53명)에서, 인공 고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의 7.2%(11명/206명)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 인공관절 수술 후 감염이 발생한 환자는 주로 수술부위의 동통과 국소 발열을 호소하였으며 급성, 선도형 감염이 많았고 원인균은 S. epidermidis와 S. aureus가 가장 많았다. 예방적 항균제는 주로 2, 3세대 cephalosporin과 aminoglycosides를 병합하여 2주 이상 사용하였고 항균제 사용 기간은 감염이 발생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다. 대부분 항균제와 배농요법으로 치료되었으나 two stage revision이 필요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감염 발생의 위험요인으로는 비만과 장기간의 예방적 항균제의 사용 등이었다.
결론 : 가장 중요한 감염 발생의 위험요인은 비만과 장기간의 예방적 항균제의 사용이며, 수술 후 감염을 줄이기 위해 첫째, 수술 대상 환자 중 특히 비만환자에서 감염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둘째, 수술 전 다른 부위의 감염 병소를 적극적으로 제거하며 셋째, 적절한 예방적 항균제를 선택하여 단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겠다.
Background : Prosthetic joint related infections are major complication of prosthesis replacement operations, and require prolonged antibiotic therapy and removal of the infected joint.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regarding their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prosthesis-related infec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fection rates, clinical presentation, the risk factors as well as the current patterns of prophylactic antibiotic use following prosthetic joint surger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06 cases of total hip and total knee replacement(from March 1994 to February 1997)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We evaluated that the clinical manifestation and risk factors, causative organisms, duration of prophylactic antibiotic therapy, treatment modality and prognosis of infect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Results : Among 153 total hip and 53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22 prosthetic joints were infected(10.6%). Infection rate was 7.2%(11/206) in total hip and 20.8%(11/53) in total knee replaced group, respectively. Common symptoms were pain, heating and tenderness of operation sites. Acute, introduced infection was the most common pattern and S. epidermidis and S.aureus were the predominant causative organisms. Two-weeks use of 2nd or 3rd cephalosporin with aminoglycosides were common prophylactic antibiotic regimens. Duration of antibiotic use of infected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non-infected group(28.4 vs 13.4 days). Most patients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antibiotics with drainage but some needed two stage revision. Risk factors of infection were obesity and prolonged us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 Obesity and prolonged use of antibiotic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sthesis-related infections. For reducing the rate of infection, it can be recommended as follows : be careful in patient selection, especially for a obese patient, remove the remote infection, and use the proper prophylactic antibiotic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