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발작성상심실성 빈맥환자에서 Adenosine과 Verapamil의 치료효과 = A Comparision of Adenosine and Verapamil for the Treatment of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저자
최성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오진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김승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응급의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4.21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01-406(6쪽)
제공처
소장기관
Background. According to the 1992 version of ACLS guideline, adenosine is recommended as the first line drug for the treatment of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PSVT). But adenosine is not used frequently in our country, despite currently proven effect and safety. Therefore we tried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adenosine with verapamil for the treatment for PSVT.
Materials and Methods. We prospectively reviewed charts of PSVT patients admitted to YongDong Severance Hospital from Jan. 1995 to Dec. 1996. Thes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as given 6mg of adenosine initially , and another 12mg was given within 5minutes if first dose failed. The other group was given 5mg of verapamil initially, and if failed, 10mg was given within 10minut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student- t method
Results. In converting PSVT to normal rhythm, adenosine and verapamil showed similar result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frequency of side effects, but serious arrhythmia such as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ventricular tachycardia was not seen in the adenosine group.
Conclusion. Adenosine not only showed comparable effect and safety, but also had shorter action time than verapamil. Therefore we recommand sdenosine, as a safe and effective first line drug for PSV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