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분단 독일과 통일 독일 : 베를린 장벽의 구축과 해체에 관한 변증법 = Divided Germany and Unified Germany : A Dialectic Method on the Construction and Destruction of the Berlin Wal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7-288(32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의 목적은 전승4국에 의해 각각 4분할된 전범국 독일의 동서독 분단과 베를린 분할, 소련과 동독 당국에 의한 베를린 장벽의 구축, 그리고 동독 주민들의 여행 자유 개방에 따른 베를린 장벽 해체 등을 통해 동서독의 통일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전승4국과 양독2국 간 쟁점이 되어 온 베를린 장벽의 구축과 해체에 관하여 헤겔의 정(正, These)→반(反, Antithese)→합(合, Synthese) 변증법을 적용하였다. ⓛ 전승4국이 전전(戰前) 회담의 산물인 전범국 독일을 동서독 분단과 동서 베를린 분할을 해 놓은 국제질서하에서 패권을 장악하려는 의미에서의 정(正), ② 그중에서 소련과 동독 당국이 기존 국제질서를 깨고 공산주의 패권을 유지하고자 베를린 장벽을 구축한 의미에서의 반(反), 그리고 ③ 베를린 장벽 해체가 의도되지는 않았지만 동독 주민들의 이주와 이탈을 넘어서 동유럽의 민주화 일환으로 나타난 촛불시위, 동독 SED 대변인 샤보브스키(G. Schabowski)의 기자회견에서의 ‘즉시, 지체 없이’ 국경개방 허용 발언의 말실수 등이 ‘부정의 부정’으로 지양(止揚, Aufheben)되면서 베를린 장벽이 해체되는 수순을 밟게 되는 의미에서의 합(合)인 것이다. 요컨대 미국과 소련 중심의 전승4국은 전범국 독일을 분할하여 패권이란 국제질서를 지속하고자 했으나, 오히려 소련과 동독이 베를린 장벽 구축에 나서면서 그들만의 공산권 체제유지를 강화하고자 했다. 그러나 동서독 여행 자유와 국경개방 시위에 나선 동독 주민들의 자유화와 동독 당국의 개방에 대한 모호한 태도 등이 중첩되면서 베를린 장벽이 해체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베를린 장벽의 해체는 독일 통일을 앞당기는 단초가 되었고, 정상적인 통일 독일로 자리매김한 것은 더이상 분단 독일이 지속될 수 없다는 변증법적 논리를 깨우쳐준 사실이 아닌가 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the unifica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based on the division of Germany into four parts and the division of Berlin into four parts by the four winning nations, the construction of Berlin Wall by the Soviet Union and East Germany, and the destruction of Berlin Wall by the people of East Germany for Freedom of Travel Open. The methodology was Hegel’s dialectic of These → Antithese → Synthese on the construction and destruction of Berlin Wall which has been at issue by the four winning nations and the two Germanies. In sum, ⓛ These is the four winning nations’ intention to dominate the powers by dividing Germany into east and west and Berlin in half as a result of pre-war talk, ② Antithese is the construction of Berlin Wall by the Soviet Union and East Germany to break the international order and maintain communism, and ③ Synthese is the unintended destruction of Berlin Wall through Aufheben when the people of East Germany’s candle protest as a part of the democratic movement beyond migration and deviation and G. Schabowski’s mistaken remark to open the national borders ‘immediately, without delay’ at a press conference as the spokesperson of East Germany’s SED operated as ‘negation of negation.’ The four winning nations led by the U.S. and the Soviet Union intended to divide Germany to maintain the international powers, but the Soviet Union and East Germany constructed the Berlin Wall to reinforce their own communist systems. However, the Berlin Wall was destroyed by the liberation of people of East Germany for liberal traveling between East and West Germanies and opening of borders and the East German authority’s ambiguous attitude toward the opening of borders. As the destruction of Berlin Wall triggered the unification of Germany, the settlement of German people and unification of Germany would be a fact that supports the dialectic logic that the division of Germany could not persist.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