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남언기 <고반원가>의 문학사적 검토 = Literary Historical Review of Nam Eon-gi’s <Gobanwonga>
저자
김신중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06(2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Gobanwonga> is Nujeong-eunilgasa, which was recently discovered. It was created based on the background of Gobanwon of Sapyeongchon which belonged to Mt. Mudeungsan of Honam in the 16th century. Based on this <Gobanwonga> as the target, this research reviewed the position of it in Gasa literature. Major content of discussion is as follows.
This research firstly viewed the basic points of the writer and the work briefly by considering <Gobanwonga> has recently been opened to the world, firstly. The writer Nam Eon-gi was from Hanyang, who was closely related to Honam in the process of growth and studying. Also, he established <Gobanwon> by settling down in Sapyeongchon after his mid 30s, where his wife's parents lived, then created <Gobanwonga>. <Gobanwonga> is Nujeong-eunilgasa which narrated leisurely life of the owner of Gobanwon and beauty of Gobanwon landscape.
Therefore,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 of <Gobanwonga>, above all, as Nujeong-eunilgasa. Particularly, mainly explained the relation between Song Sun's <Myeonangjeongga> and Jeong Cheol's <Seongsanbyeolgok>, which had the same background, by giving attention to the period and regional background of Mt. Mudeungsan of Honam in the 16th century. Also, this research considered mainly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writer and Eunilja in the work, composition of work content, characteristic of the writer and attitude to present realization. In the process, this research revealed that <Gobanwonga> had identity on its own way, while it continued particularly the context of <Myeonangjeongga>.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Nujeong-eunilgasa and <Gobanwonga> since the 17th century. Nujeong-eunilgasa of the 17th century also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 established in the 16th century. However, since the 17th century, character of Nujeong-eunilgasa was transformed to a song of leisurely life in the country rather than Eunil, there was almost no work creation thereof in the 18th century. That was the result that the period sensitivity, Eunil, conceived in the easeless political reality of the 16th century did not gain the sympathy any more. In this stream, <Gobanwonga> was a work that showed a clue for the change in 17th century in advance.
남언기의 <고반원가>는 최근에 발굴된 누정은일가사이다. 16세기 후반 호남의 무등산권에 속한, 옛 동복현 사평촌의 고반원을 배경으로 창작되었다. 이 <고반원가>를 대상으로 하여, 그것이 가사문학사에서 어떤 위치에 놓이는지를 검토한 것이 바로 이 글이다.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반원가>가 최근에야 세상에 알려진 작품임을 고려하여, 먼저 작자와 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간략히 조감하였다. 작자 남언기는 한양 출신으로, 성장과 수학 과정에서 호남과 밀접한 인연을 맺었다. 그리고 30대 중반 이후 처가가 있는 사평촌에 정착하여 고반원을 조성하고, <고반원가>를 창작하였다. <고반원가>는 고반원 주인의 한가로운 생활과 고반원 경치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누정은일가사이다.
따라서 이 글은 무엇보다 누정은일가사로서, <고반원가>의 성격에 주목하였다. 특히 16세기 호남의 무등산권이라는 시대와 지역적 배경에 유의하여, 같은 배경을 가진 송순의 <면앙정가>와 정철의 <성산별곡>과의 관계를 주로 해명하였다. 작자와 작중 은일자의 관계, 작품의 내용 구성, 작자의 성격 및 현실인식태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고반원가>가 특히 <면앙정가>의 맥을 이으면서, 나름대로 독자성도 갖추었음을 밝혔다.
이어 17세기 이후의 누정은일가사와 <고반원가>의 관계를 살폈다. 17세기의 누정은일가사 역시 16세기에 수립된 전통 위에서 창작되었다. 하지만 17세기를 지나면서 누정은일가사는 그 성격이 은일보다는 향촌의 한거노래로 변모되었고, 18세기에는 작품 창작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16세기의 불안한 정치현실에서 배태된 은일이라는 시대감성이 더 이상 공감을 얻지 못한 결과였다. 이런 흐름 속에서 <고반원가>는 17세기적 변화의 단초를 미리 보여준 작품이기도 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9-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5-09-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07-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4-07-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1.123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