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07년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의 종류와 특징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prospectus written and distributed at Daegu in 1907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9-144(66쪽)
제공처
이 논문은 지금까지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1907년에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의 종류와 그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07년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는 모두 4종이었다. ㉮대구광문사가 1907년 1월 31일에 작성한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1차 취지서」), ㉯대동광문회가 2월 중순 경에 수정한 「국채보상취지서」(「2차 취지서」), ㉰‘대구금연상채회’가 2월 21일에 작성한 「국채담보취지서」 및 ㉱이와 동시에 작성한 「통문」이 그것이다. 이 4종의 취지서는 국채보상의 필요성과 방법론 등 대의 면에서는 상통하는 바가 많지만, 교정과 윤문, 필요에 따른 구절의 첨삭 등으로 서술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엄연히 구별되는 별도의 문건이었다.
둘째, 대구광문사가 작성한 「1차 취지서」인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는 대구광문사 사장 김광제와 부사장 서상돈 명의의 공함 형식으로 국내외에 널리 배포된 문건이었다. 발의 직후인 1907년 1월 31일에 발표된 이 「1차 취지서」에는 대표 발기인인 김광제・서상돈 외에도 광문사 사원 장상철 등 14명이 발기인으로 함께 참여하여 그 수는 도합 16명이었다. 이 「1차 취지서」의 개요는 국민들의 충의가 국가의 흥망을 좌우한다는 원론, 우리 민족의 현실에 대한 자책, 국채로 인한 국가적 위기와 국채보상의 필요성, 금연으로 국채를 보상하자는 방법론의 제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그 주지(主旨)는 이후 「2차 취지서」와 「국채담보취지서」 및 「통문」에까지 계승되어 국채보상운동의 불변의 지표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문건은 1907년 2월 21일자 대한매일신보에 게재되어 대구에서 전국 최초로 국채보상운동이 발의・발기되었음이 전국에 알려져 운동의 확산과 동참을 이끌어내는 기폭제가 되었다.
셋째, 대동광문회가 「1차 취지서」를 수정한 「2차 취지서」는 「국채보상취지서」라는 제목으로 1907년 2월 중순 경에 발표되었다. 발기인은 대표 발기인이었던 김광제와 서상돈을 필두로 하여 대동광문회 회장 박해령과 회원 13명이 참여하여 외형상 도합 17명이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김광제가 중복 포함되어 사실상 16명이었다. 다만 「1차 취지서」의 발기인 중 광문사 사원 권석우・최일홍・김봉준・박병옥 등 4명이 제외되고 그 대신 대동광문회 회장 박해령・회원 서병오・정재덕・추교정 등 4명이 새로 참여하는 변화가 있었다. 「2차 취지서」는 글의 형식을 편지글에서 취지서 형식으로 바꾸었고 새로운 제목을 내세웠으며 자구에 대한 부분적인 수정과 윤문을 가하여 작성한 새로운 문건이었다.
넷째, 1907년 2월 21일 ‘대구금연상채회’는 「국채담보취지서」와 「통문」이라는 제목으로 2종의 취지서를 동시에 작성・발표하였다. 이 2종의 취지서는 이전의 「1・2차 취지서」의 대의를 그대로 계승했지만 가상 독자층을 서로 다르게 상정한 점이 특징이었다. 전자는 보다 읽기 쉬운 현토(懸吐)한 국한문 혼용체의 평이한 문장을 구사하여 다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삼은 데 비해, 후자는 유교 경전의 구절이나 역사고사 등을 인용한 순한문체의 문장을 사용하여 지역 향교를 거점으로 하는 향촌 지식인들을 그 독자층으로 설정하였다. 이 2종의 취지서는 주로 경북 내 대구 등 41개 향교를 중심으로 배포되어, 이후...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prospectus written and distributed in Daegu in 1907, which has not been properly reviewed until now. A summary of what was revealed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four types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prospectus written and distributed in Daegu in 1907. ①Daegugwangmunsa's 「National debt 13million-won repayment prospectus(國債一千萬圓報償趣旨)」(「the 1st prospectus」) prepared on January 31, 1907, ②「The the National debt repayment prospectus(國債報償趣旨書)」(「the 2nd prospectus) revised by Daedonggwangmunhoe in mid-February, ③「The National debt collateral prospectus(國債擔報趣旨書)」 prepared by the ‘Daegugumyeonsangchaehoe’ on February 21st, and ④「The Public Document(通文)」 prepar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organization. Although these four types of prospectus have much in common in terms of the purpose, such as the necessity and methodology of national debt repayment, they were clearly separate documents with partial differences in description due to proofreading, revision, and correction of passages as necessary.
Second, 「the 1st prospectus」 written by DaeguGwangmunsa was a document widely distributed in the name of President Kim Gwang-je and Vice President Seo Sang-don. In this 「the 1st prospectus」 announced on January 31, 1907, including Gwangmunsa employee 14people participated as promoters. The outline of this prospectus can be summarized the main note passed down to later prospectus and became an immutable indicator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addition, this document was published in the DaehanMaeil Shinbo on February 21, 1907, making it known throughout the country that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was first initiated in Daegu, and became a catalyst for the spread and participation of the movement.
Third, 「the 2nd prospectus」, which was a revised version of the 「1st prospectus」 by Daedonggwangmunhoe, was announced around mid-February 1907 under the title 「The the National debt repayment prospectus」. The promoters were 16 people in total, led by Gwangmunsa President Kim Gwang-je and Vice President Seo Sang-don, who were the main promoters, as well as Daedonggwangmunhoe Chairman Park Hae-ryeong, Vice Chairman Kim Gwang-je, and association members. However, this is a change in which four of the 16 promoters of the 「the 1st prospectus」. 「The 2nd prospectus」 was a new document written by changing the format, introducing a new title, and adding partial corrections and revisions to the wording.
Fourth, on February 21, the Daegugumyeonsangchaehoe simultaneously prepared and announced two types of statements titled 「The National debt collateral prospectus」 and 「The public document」. These two types of prospectuses inherited the purpose of the previous 「1st and 2nd prospectus」, but were characterized by assuming different virtual readerships. The former targeted the majority of the public by using simple sentences, while the latter used sentences in a pure Chinese writing style that quoted passages from Confucian scriptures or historical events. Local intellectuals based at local Confucian schools(鄕校) were selected as the readership. These two types of statements were mainly distributed to 40 local schools in the Gyeongbuk,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the Gyeongbuk reg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