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헌 및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대 장송의례 - 백제를 중심으로 - = Ancient Funeral and Burial Rituals through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Materials - Focused on Baekje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53(2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고는 문헌과 고고자료를 통해 초기 국가단계의 장송의례부터 삼국의 장송의례까지 그 일면을 파악하고, 변화 과정을 검토하였다. 고고자료는 백제권의 도읍을 중심으로 한 대표적인 의례 유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정지산유적은 무령왕릉 출토 묘지석을 통해 국가 의례시설이 있었던 곳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대개 빈장의 모습이었을 것으로 살펴진다. 송산리고분군 방단적석유구의 A지구 구덩이는 마한과 백제의 의례적인 관련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주목해보았다. D지구 역시 3단 방형 형태를 갖춘 제단시설로 살펴졌다. 이들은 모두 유구의 모습을 통해서 특수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살펴진다. 웅진 천도 이전인 공주 수촌리 적석유구에서도 의례 공간으로 활용한 흔적이 보이며, 이는 한성시대 왕릉인 석촌동고분군과 유사한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三國志』동이전을 통해 초기 국가단계의 장송의례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부여조 ‘停喪’기록은 이미 3세기 중·후반 단계에 빈장으로 추정되는 장례 풍습이 확인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옥저조에서는 세골장의 풍습이 보이며, 시신을 가매장하였다는 사실을 주목하면 빈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여와 통한다고 할 수 있다. 마한 장송의례는 구슬을 중시하였으나 마구류와 금과 은 등을 부장하는 것은 백제문화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는 것으로 살펴볼 수 있다. 변진조에서도 큰 새의 깃털을 장례용으로 쓰는 등 계세사상과 연관된 모습이 보인다. 이처럼 초기 우리나라의 각 정치체들은 주변 나라와의 접촉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점차 보편성을 갖게 되었다.
특히 불교와 유교의 영향은 장송의례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중국 사서에서 보이는 백제 장송의례는 공통 적으로 服을 언급하고 있으며, 특히 복을 제도로 3년 하였다는 『翰苑』의 기록에서 7세기 대 복상이 일반적 장 송의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日本書紀』 속 신라의 장송의례 모습과 고구려 무용총 벽화 등에서 음악·무 용과 곡 등을 하는 모습이 살펴지는데, 백제에서도 비슷하였다고 추정된다. 이는 중국의 東漢대 상제에 음악 이 쓰여 중국의 유교 영향을 받은 상장례로 볼 수 있다. 더불어 백제에서는 부여 능사 북편 건물지의 빈전시 설을 통해 불교와 결합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처럼 삼국의 장송의례는 불교와 유교의 도입으로, 이전 의 전통적인 계세사상에 영향을 주면서 변화하는 모습이 살펴진다.
또한 무령왕릉은 묘지석을 통해 왕과 왕비 모두 27개월의 상장 기간을 거쳐 유교식 상장제와 일치함을 살 펴볼 수 있다. 아울러 매지권을 통해 도교의 영향도 미쳤음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무령왕릉의 사례를 통해 당 시에는 관이 안치된 빈전일 가능성이 컸음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빈전의 운영은 여러 기술적인 문제로 이 후 매장하는 빈을 택하였다. 7세기 초반 내용을 담고 있는 『翰苑』에서 매장하여 빈하였다는 기술은 이를 분명 하게 보여준다. 이처럼 백제의 장송의례는 부여와 마한 등 우리 고유의 장송의례와 중국의 문화를 수용하면서 장례문화가 변화되면서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Baekje through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materials. This study figured out the aspects of the early state-level funeral and burial rituals and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the Three States and reviewed the process of changes.
For archeological materi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ve relics for ancestral rites, centered around the cities in the Baekje area. The Mt. Jeongji-san remains can be seen as a place where the national ancestral rites, which were usually Binja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it in District A of Bangdanjeokseok (squared altar where stones were piled up) relics in Songsan-ri Ancient Tombs as a material by which the ritual relevance between Mahan and Baekje could be seen. District D was also examined as an altar facility in the three square-shaped columns. Also in the Jeokseok (stones were piled up) relics of Gongju Suchon-ri remains, which was built before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Ungjin, there is a trace that it was used as a space for rituals, which was similar to the Seokchon-dong Ancient Tombs, a royal tomb during the Hanseong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he early state-level funeral and burial rituals through “Dongyi-jeon” i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in the Buyeo dynasty, funeral customs are identified in the mid-to-late-3rd century, which is assumed to be Binjang. Next, in the Okjeo dynasty, there was a custom of Segol-jang, and the body was temporarily buried.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Mahan was changed by the influence of the Baekje culture. Also, in the Byeonjin dynasty, there was an association with the thought of the afterlife, e.g. The features of a big bird were used for a funeral.
Since Bok (garment) is commonly mentioned for the Baekje funeral and burial rituals in Chinese history books, it is noted that Boksang was a general Funeral and Burial Ritual in the 7th century. In addition, in the Three States, there were music, dance and wailing in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which can be seen as funeral rites affected by Confucianism. Also, in Baekje, it was combined with Buddhism through the Binjeon facilities in the building site north of Buyeo Neungsa Temple. Like this,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the Three States were changed with the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thought of the afterlife by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Especially, the tombstone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hows consistency with the Confucian funeral and burial ritual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aoism through Maejigwon (the bill of the sales of the site). In additio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s very likely to be Binjeon in which the body was enshrined in the coffin. However, it was noted that Bin was chosen later due to several technical issues for Binjeon. Like this, in the funeral and burial rituals of Baekje, the funeral culture was changed and developed as we accepted our own funeral and burial rituals like those of Buyeo and Mahan and Chinese cultur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1 | 0.34 | 0.727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