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가 형성 이념으로서 사회주의의 토착적 적용 = 인도의 네루와 미얀마의 우 누 비교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5-145(3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에서는 인도와 미얀마의 초대 총리였던 네루(Jawaharlal Nehru)와 우 누(U Nu)의 사회주의관, 두 총리 체제하 실시된 혼합경제와 복지국가의 배경과 성과를 검토함으로써 신생 독립국으로서 두 국가에서 사회주의는 국가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한다. 네루는 영국 유학시절 당시 페이비언주의에 경도되었으며, 간디(Mahatma Gandhi)의 사상과 전략적 대립을 이루었다. 그는 특정 사상에 대한 이념적 접근을 지양하는 대신 실용주의와 세속주의에 근거하여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주의국가를 구현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반해 우 누는 각종 이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여 이념적 중심을 잡지 못했고, 궁극적으로 정치와 종교의 접목을 통해 독립 버마를 전통시대로 회귀시키려고 시도했다.
혼합경제와 복지국가는 공히 전통적 성향이 강한 사회의 구조적 개혁 없이 근대 제도만을 투입시킴으로써 상호간 조화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실패했다. 경제정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네루 시기 인도는 민주주의 제도를 정착시킴으로써 현재까지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국가가 될 수 있었다. 반면, 미얀마는 우 누의 정치력뿐만 아니라 정치제도로 도입한 민주주의체제가 부침을 거듭하며 토착화되지 못했다. 민간정부의 실패는 군부 통치라는 정치적 쇠퇴로 이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unction of socialismas an ideology of state formation. In doing so, this paper explores socialism view of the first Prime Minister of India Jawaharlal Nehru and the first Prime Minister of Myanmar, then Burma U Nu, and evaluates socialist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mixed economy and the welfare state. Nehru deeply had concentrated on Fabianism while studying in England, and had a strategic confrontation with Mahatma Gandhi. He attempted to create a free and equal socialist state based on pragmatism and secularism instead of avoiding ideological approaches to certain ideas(-ism). On the other hand, U Nu did not have a stabilized ideology because not freeing from various ideologies which he had encountered through books, conversation, speeches, and ultimately attempted to bring independent Burma back to tradition by combining politics and religion.
Both the mixed economy and the welfare state had failed by interconnection of modern institutions without structural reform of traditional society. Despite the failure of economic policy, India was able to become the world`s largest democracy by settling its democratic system. On the other hand, Myanmar`s democratic system, which was introduced as a political system as well as U Nu’s political power, has failed to become indigenous. The failure of the civilian government led to the political decay of military rul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