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규율과 통치 = Discipline and Governmentality: Implications of Foucaldien Theory of Power to Organization Stud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3(33쪽)
제공처
이 글은 Michel Foucault가 정초한 권력의 개념이 조직학의 후속연구에서 어떻게 계승 발전되는지를 살펴보는 메타 분석을 통해 푸코 철학의 함의와 기여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 글에 따를 때, Foucault는 규율권력과 생명권력이라는 두 가지 권력개념을 정초했다. 근대적 형태의 조직이 감시와 처벌이라는 억압적 통제기제를 발전시켜 왔다는 규율권력 개념은 현대 조직의 기초를 이루는 다양한 관리기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생명권력 개념은 이 다양한 관리기술이 어떻게 보다 인간적인 얼굴로 개인의 자발적 참여와 자기 통제를 유도하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에 주목하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Foucault의 권력개념을 계승하는 조직 연구는 첫째, 조직의 규율화를 위한 권력의 개입방식에 대한 연구 둘째, 자발적인 참여와 복종을 유도하는 통치의 기술과 원리에 대한 연구 셋째, 자발적 관리를 통해 조직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진 개인의 통치 방식(주체화)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층위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 세 가지 층위 가운데 세 번째 연구영역 즉, Foucault가 후기에 이르러 모색한 주체화의 양식이 조직 연구에서 얼마나 반영 또는 창조적으로 계승되었는지가 불분명하다고 언급하며 향후의 연구 아젠다로 주체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그리고 그 일례로 Bourdieu의 아비투스(Habitus) 개념을 소개하며 그 기여와 한계를 간략하게 논한다.
더보기This writing is to study mechanism of power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power found in Michel Foucault's work. Particularly, it seeks to explore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disciplinary power and bio-power defined by Foucault in subsequent studies of organization and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of his philosophy as well. According to this study, Foucault’s concept addressing the development of repressive control through surveillance and punishment in modern organization gave a rise to critical review of various management technologies; the concept of bio-power had led these technologies to focus on the individual’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elf-regulation. Later organization studies include the study on the intervention of power for organization discipline, the study on the technique and principle of governing for voluntary participation and obedience, and the study on the individual governing through voluntary self-management(subjectification). However, I suggest the study on the subjectification for future research agenda since it is uncertain how the subjectification sought by Foucault is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 studies or even creatively reproduced. I introduce Pier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in order to support the research sugges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