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朝鮮王室 胎항아리 變遷硏究 = A Study on Changes of Tae-Jars of the Chosun Dynasty
저자
윤석인 (강원고고문화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79(27쪽)
KCI 피인용횟수
8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A Tae (placenta)-jar refers to an earthen container holding and keeping the amnion and the placenta of a child born to the royal family of the Chosun Dynasty and is divided into an inner jar holding the placenta and an outer jar covering the inner jar.
The Tae-jar us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Chosun Dynastic has been recognized as an indicative relicpresenting the standards for the absolute age in the history of Korean pottery. On the Tae-stone (a memorial stone), kept together with the placenta, the birthday of the Tae-owner and the burial day of the placenta are recorded and most of the scholars use the absolute age based on the burial day of the placenta, which is time for making a Taesil (a room made of stones for keeping the jars containing Tae). However, this age calculation is based on the burial date of the Tae-stone without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oyal family’s childbirth tradition as to handling the placenta. According to the royal childbirth tradition, most of the Tae-jars should be made and prepared in advance before royal children are born. Hence, the time of making Tae-jars will produce a much narrower margin of error when based on the date of birth rather than the date of burial. Based on this, the absolute age of Tae-jars so far calculated based on the date of burial must be shifted to calculation upon the date of birth.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ocess of changes of Tae-jars of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identify the usage of kilns and the flow of produced jars of the Chosu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kilns and porcelains excavated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ae-jars were studied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kiln of the Chosun Dynasty. Especial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kiln of the Chosun Dynasty, the white Tae-jars were divided into six stages to learn about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forms of Tae-jars in detail. Finally, time of use of the royal kiln was compared and reviewed through the manufacturing years of white Tae-jars.
태항아리란 조선시대 왕실에서 태어난 자손의 태를 담아 보관하는 항아리를 말하는데, 태항아리는 태를 담은 내항아리와 내항아리를 담은 외항아리로 구성된다.
그 동안 조선시대 왕실에서 사용된 태항아리는 한국 도자사에서 절대연대의 기준을 제시하는 표식적인 유물로 알려져 왔다. 태실 내에 함께 매납되는 태지석에 태항아리의 제작시기를 가늠할 수있는 태주의 탄생일과 장태일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자들은 태실의 조성시기인 장태일을 기준으로 태항아리의 절대연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대설정은 태를 처리하는 왕실산속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단지 태지석의 장태일을 절대연대의 기준으로 삼았기때문이라 할 수 있다. 왕실 산속에 따르면 대부분의 태항아리는 왕실자녀가 태어나기 전에 미리 제작되어 구비하기 때문에 태항아리의 제작시기는 장태일보다는 탄생일을 기준할 경우 오차범위도크게 줄어들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그동안 장태일을 기준한 태항아리의 절대연대는 탄생일로 재고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글에서는 조선시대 태항아리의 시기별 변천과정을 검토하는데 중심을 두었다. 조선시대 요장의 운용과 생산도자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관요설치 이전과 관요설치 이후로 나누어 요장과 출토자기의 특징 그리고 태항아리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관요설치 이후로는 백자태항아리를총 6단계로 구분하여 태항아리의 기형변화와 특징을 상세히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백자태항아리의 제작연대를 통해 관요(생산요장)의 운영시기를 함께 비교·접근해 보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MUNHWA -> KOMUNHWA (Korea Antiquity)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69 | 1.562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