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동 음악창작 특성에 관한 연구: 송라이팅 캠프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ollaborative Music Creation Process : Focusing on a Songwriting Camp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56(14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With increasing competitions in the Korean music market, the life-cycle of music has been ever shortened. Recently, there is a noticeable phenomenon found that multiple creators participate on creating music, taking part of each role in th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a new type of co-writing system called ‘songwriting camp’.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drawn from the co-writing process, and then sugges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Korean music market. In doing so, I interviewed composers and music publishers who have experiences to participate on songwriting camp held in Korea.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songwriting camp is a space where the collaboration is maximized and creativity is highly emerged through co-writing process. The participants take a strategy to distribute their ability effectively fit to everyday session on purpose of getting ‘cut’. I argued that this co-writing system through a songwriting camp may lead to the dilemma that differentiation and identity of music are blurred due to the overflow of a similar level and quality of music. To make better use of songwriting camp, I suggest that it would be better to explore diverse uses of it within the Korean local music market to bring more creative and various collaborations between creators.
더보기빠르게 변화하는 음악시장 트렌드와 10대 취향에어필하기 위해 기획사들은 지속적으로 싱글을 발매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보다 새롭고 독창적인곡을 발굴해야 하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환경 하에서 다수의 창작들이 참여, 각자의 역할과기능을 담당하며 곡을 완성하는 방식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 중 최근 송라이팅 캠프를 활용하여 곡을 수급하는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불확실성과 경쟁이 치열한 국내 음악시장 내에서 송라이팅 캠프를통한 새로운 공동 음악창작 방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로 미디어에서는 다루어졌지만, 학술 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송라이팅 캠프의개념과 진행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음악 창작 방식과는 다른 차별적 특성들을 도출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음악시장에서 가능한 송라이팅캠프 활용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국내 송라이팅 캠프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송라이팅 캠프는 작곡가들이 동일한 공간과한정된 시간 내에서 협업이 극대화되고 창의성이 발현되는 공간이며, 하루에 한 곡을 창작해야 하는 본질적 특성상 창작과정에서 방해되는 갈등의 요소들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취함으로서 작곡가들은 창작 과정을 효율적으로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협업적 역량을 제고하고 갈등을 중재하는 퍼실리테이터로서A&R의 역할의 중요성도 알 수 있었다. 송라이팅 캠프는 치열한 경쟁에서 안정적인 매뉴얼화를 통해 실패 위험을 낮추고 균등한 수준의 음악을 창작할 수있는 반면, 곡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국내 아이돌 음악 시장이 가진 구조적 한계와 정체성과 맞물려 유사한 스타일의 음악이 양산되는 구조가 반복될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였다. 지금까지 주로 해외 작곡가와협업 및 아웃소싱 차원으로만 활용되어 왔던 송라이팅 캠프를 국내 기획자들도 보다 다각적 차원에서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통해 국내 음악창작 영역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7 | 0.781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상현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