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최근 저작권 침해에 대한 형사소송법 및 형법총칙 적용 고찰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Criminal Act against the Recent Copyright Violations
저자
이원상 (조선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7-153(2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Among the copyright act regulations, articles (penelty provisions) 136, 137 and 138 that stipulate criminal punishment, Article 139 of the confiscation, Article 140 of the complaint, and Article 141 of the joint penal provisions will be related to the criminal law and the criminal procedure law system.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dividual regulations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in the copyright act fall under individual provisions to which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riminal law apply. According to Article 8 of the Criminal Law, “The general provisions of this Act shall also apply to such crimes as are provided by other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unless provided otherwise by such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Thus, criminal proceedings are carried out in viol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copyright act, and criminal procedures a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fore,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cases in Specifying the Facts Charged, Inclusive Crime, and Joint Principal Offender who conspired to commit a crime were problematic among the Supreme Court cases related to the Criminal Law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the criminal and copyright law circles when interpreting the provisions of the penal provisions stipulated in the copyright. However, if you look at the relationship, the interpretation of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e law becomes the basis, and the interpretation is comple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pyright law. Thus, the value of criminal law to reduce the penalty could be applied equally.
저작권법 규정 가운데 제136조, 제137조, 제138조의 형사처벌 규정과 제139조 몰수규정, 제140조 고소규정, 제141조 양벌규정은 형사법체계와 관련을 맺게 된다. 형사법체계에서 형사처벌이 규정되어 있는 저작권법의 개별규정은 형법총칙이 적용되는 각칙에 해당된다. 이는 형법 제8조에서는 타 법령에 특별한 배제규정이 없는 한 형법총칙규정(형법 제1~86조)은 형사처벌을 규정하고 있는 타 법령에 적용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래서 저작권법의 형사처벌 규정을 어긴 경우 형사절차가 진행되며, 형사절차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진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저작권법상 처벌규정에 대해서는 형사법 영역과 저작권법 영역의 해석이 공존하게 된다. 따라서 이번 논문에서는 최근 형사법체계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 가운데 형사소송법적으로 공소사실 특정이 문제가 된 사례와 실체법적으로 죄수와 공모공동정범이 문제가 되었던 판례를 살펴보았다.
저작권법상 공소사실 특정은 저작권법 제10조 제2항에 따라 저작권의 발생은 절차나 형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작권 침해 유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공소사실을 특정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그러므로 법원도 공소사실 특정에 대해서는 비교적 완화된 판단을 하고 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저작권침해 범죄에 대해 완화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소효력과 기판력 등과 관련을 맺게 되는 죄수 관계에서도 저작권 범죄의 특이성으로 인해 포괄일죄인지 실체적 경합인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작권법상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저작물들의 경우에는 여러 개의 침해행위가 있더라도 포괄일죄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실체적 경합범으로 처리된다. 그리고 법원은 저작권법 위반의 사례에 대해서도 다소 강화된 공모공동정범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공모가 아닌 지배나 장악력 있는 기능적 행위지배를 한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의 공모공동정범으로 처벌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저작권 처벌규정의 개별조문의 해석에 있어서는 형법학계와 저작권법학계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형법총칙이나 형사소송법 부분의 해석은 형법학계의 해석방법이 고려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처벌을 축소해석하려는 형법학계의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8-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저작권위원회 -> 한국저작권위원회영문명 : Copyright Commission -> Korea Copyright Commission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4 | 0.632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