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후기 제갈량 담론의 지속과 변용 -북벌 담론을 중심으로- = Persistence and transformation of Zhuge Liang’s discourse in the late Joseon Period: centered on the Northern Expeditionary discour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1-81(41쪽)
제공처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descriptive logic of the literature about Zhuge Liang, focusing on the keyword as “Northern Expeditionary discourse” which was one of the main elements of Zhuge Liang’s discourse in Joseon period. Examples of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showed the combination between Zhuge Liang’s discourse and the Northern Expedition, included works by Song Si-yeol, Kim Soo-Jeung, and Lee Hyun-il and Lee Sang-jong. The combination of Zhuge Liang’s discourse and the Northern expeditionary discourse is effective in examining the reinterpretation of Chinese portraits such as Zhuge Liang’s portrait, and the such images and related texts were accept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Joseon such as Byeongja Horan. In particular, the second chapter of this article presented and analyzed the examples of late Joseon writers who showed their interpretation and acceptance toward <Go-back-hang(古柏行)> written by Doubo(杜甫) related to context of Zhuziyulei(朱子語類), which had included Zhu Hui’s preference about Zhu Zhuge Liang.
In addition, the Hanju school’s case represented the situ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Zhuge Liang was recalled continuously as part of the Joseon’s will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and related Zhuge Liang’s images such as illustrations of Monggyeon Je Gal Ryang(夢見諸葛亮) were generated continuously. Overall, this article’s discussion centered on the Northern expeditionary discourse is significant because the discussion of Zhuge Liang in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had been formed in response to the Qing’s rule, also continued and transformed in the modern period including colonial period.
본고는 조선 내 제갈량 담론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北伐論’이란 키워드를 중심으로 제갈량 관련 시문 내의 서술 논리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제갈량 담론과 북벌 화소의 연합을 보여주는 조선후기 사례로는 송시열과 김수증, 이현일과 관련되는 이상정의 작품 등을 예시하였고, 근대기의 사례로는 한주학파의 와룡 허호 관련 산문들이 주가 된다. 제갈량 담론과 ‘북벌’ 화소의 결합은 중국 인물의 초상이 조선의 정치・문화 상황에 따라 재해석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작업으로서 유효하며, 주희의 제갈량관에 입각한 제갈량 초상 담론이 호란 이후의 현실과 맞물려 어떻게 조선화되었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본고의 2장에서는 朱子年譜의 臥龍菴 등장 대목, 주희의 제갈량 애호와 연관되는 朱子語類 중의 두보 시 <古柏行> 관련 대목에 대한 해석과 수용을 보여주는 조선후기 문인들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 분석하였다.
또한 한주학파의 사례는 조선이 처했던 국난 극복 의지의 일환으로서 제갈량이 지속적으로 소환되고 관련 도상이 계속 생성되는 20세기 초의 상황을 대표한다. ‘북벌’의 대상이 이미 병자호란 이후의 청나라로 국한되지 않았고, 대적해야 하는 상대도 더 이상 ‘북쪽’에만 있지 않아 국제정세가 한층 복잡다단해진 제 국면 속에서도, 제갈량과 와룡 형상이 국난기의 현실 대응 모델이자 한 상징으로서 근대기 지식인들에게 여전한 의미가 있었던 정황을 한주학파의 사례가 보여주고 있다. 한주학파 지식인들 중 다수는 식민지 시기에 독립운동에 투신(곽종석, 최익한, 김창숙)하거나, 국외 망명 및 망명을 염두에 둔 해외체험을 한 경험(이승희, 장석영)이 있었던 만큼, 식견을 현실 문제 타개에 적용하고 외세의 무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인으로서의 제갈량상이 근대기 문인들의 입지와 맞닿아 있었던 것이 아닐까 추정해보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북벌 담론을 중심축에 둔 본고의 논의는 청나라의 지배 상황에 대응하여 형성된 조선후기 제갈량 담론이 근대기(구한말~일제시대)에 이르러서도 지속・변용되는 양상을 보여준 의의가 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상현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