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획 논문 : 사찰 운영 재원 마련을 위한 방안 연구 -성공사례와 성공요건을 중심으로- = The Active Method for Temple Management and Looking for a Source of Revenue: Focusing on Successful Cases and Success Facto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28.7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45(37쪽)
제공처
1700년 역사의 한국불교는 예로부터 수행과 농사가 다르지 않다는 ``선농일치(禪農一致)`` 사상을 기반으로 자급자족의 전통을 이어왔다. 하지만 현대에 접어들면서 의 식 주를 스스로 해결하는 자급자족 문화는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 문제는 사원의 경제부분과 연결돼 종교의 존폐를 걱정하는 상황으로 흐르고 있다. 이에 포교 복지 불사 및 종교시설 유지를 위한 재정을 조금이라도 충당하고자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사찰들의 사례를 발굴 성공과정과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종교단체의 경제활동에 대한 당위성 등을 제시했다. 선정된 모범사례 사찰은 금산 삼덕사, 공주 영평사, 양산 통도사, 강화 선원사, 제주 약천사, 하동 금성사, 영등포 아승지, 통도사 서운암, 문경 대승사, 단양 구인사, 합천 해인사, 칠곡 삼명사, 평창 월정사, 해남 미황사, 서산 부석사, 인제 백담사, 영월 법흥사다. 이들 사찰은 지역 특산품을 활용한 예△ 특수작물을 활용한 예 △장류 및 사찰음식을 활용한 예 △사찰 토지 및 임야를 활용한 예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예 △자립형 복지시설 구축의 예 등 6가지 세부 사례로 구분했다. 그리고 각 표본사찰들이 어떻게 성장 발전했는지 사업기획부터 시행까지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또 스님들을 인터뷰 해 사업 진행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부족한 점 개선해야 할 점 등에서도 정리했다. 이밖에도 사례조사를 통해 종교단체의 경제활동에 있어 반드시 고려하고 반영해야 할 요소 (합리적 명분과 목표 지속가능한 시스템 구축 재정 투명성 확보, 홍보 판로개척 등)를 제안했다 이를 통해 종교의 존립이 인류의 정신적 행복 전달 못지않게 중요한 과제가 된 현대에 종교시설의 경제이론에 기반한 이윤추구 활동의 정당성 등을 살폈다.
더보기Korea - buddhism, they haven`t separated practice asceticism from working for 1700 years. It means they are self - sufficient for food and necessaries so long time. Self - sufficiency finally reaches the limits in present - day society and that issue comes up to religion`s maintenance or abolition, Because that problem is an inextricable connection between temple`s maintenance and social economy, Now religion`s financial expenses is demanded to security the base of social support and to continue the missionary work, On this, I select sample temples which secure finances for missionary work, welfare, Buddhist service and temple maintenance, And analyze the process from beginning to success and the primary factor of success, Also make known the appropriateness of religious organization`s economic activities. The selected temples are Samdeoksa(Nonsan), Youngpyungsa(Gongju), Tong -dosa(Yangsan), Seonwonsa(Ganghwa), Yakchunsa(Jeju), Geumsungsa(Hadong), Asungji(Seoul), Tongdosa Seounam(Yangsan), Daeseungsa(Mungyeong), Guinsa (Danyang), Haeinsa(Hapcheon), Sammyungsa(Chilgok), Woljeongsa(Pyeongchang), Mihwangsa(Haenam), Busuksa(Seosan), Baekdamsa(Inje), Bubheungsa(Yeongwol). I seperate that temples 6 cases, such as making good use of local specialty, using(include growing) rare crops, selling soy sauce - soybean paste - red pepper paste and temple dishes, utilizing temple`s land, developing cultural content(focus on temple - stay), establishing stand - alone welfare facilities. And analyze concretely, why they begin that economic activities and how they grow up to stabilization. Also glean information about improvement, big challenge during do it by conductor`s(sample temple`s chief monk) interviews. The conclusions by the case study and interview survey, which they have to consider before beginning activities are a reasonable goal,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system, improving transparency and marketing. On this, the buddhist monk and the believers must take an interest about securing finances for Buddhist service and temple maintenanc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