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비자(韓非子)』의 법(法)과 술(術)의 관계 재조명 =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 and shu in the Hanfeiz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주제어
KDC
15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59-586(28쪽)
KCI 피인용횟수
7
DOI식별코드
제공처
한비자 정치 이론에서 법과 술은 세와 더불어 중요한 통치 도구로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한비자의 법은 관료들이 일반 백성을 다스리는 성문법이고 술은 군주가 신하들을 관리하는 술수로 본다. 이런 견해는 『韓非子』 「定法」편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한비자는 그 편에서 상앙을 법의 이론가로, 신불해를 술의 주창자로 제시한다. 상앙의 법과 신불해의 술은 한비자에게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한비자 사상에서 법은 성문법이외에 군주가 관료를 등용하고 평가하는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한비자는 「유도」편에서 법을 군주가 관료들을 등용하고 평가할 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주도」와 「이병」에서는 그것의 원칙으로 형명참동을 주장한다. 형명참동은 군주가 신하가 진술한 말에 걸맞는 일을 맡겨 주고 오로지 그 일에 맞추어 성과를 요구한다. 성과가 그 일과 들어맞고 일이 그 말과 들어맞으면 상을 주고, 그렇지 않으면 벌을 내린다. 형명참동의 원칙은 상세하게 문서화되지 않았고, 공식적으로 공포(公布)화 되는 과정을 거쳐야 되는 것도 아니다. 다만, 군주가 관료들을 등용할 때 그들의 말을 듣고, 임무를 부여하고, 업적을 평가하는 원칙을 말할 뿐이다.『한비자』의 세 편, 즉 「유도」, 「주도」, 「이병」에서 보였듯이, 형명참동은 법이 관료임용과 관련되어 쓰여진 용례에서 법의 운용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법’이라는 글자는 성문법적인 의미보다는 ‘행정술’에 가깝다. 다시 말하면 이 때 ‘법’이라는 글자를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지는 법조문을 갖춘 법률체계(law)로 해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그리고 ‘술’은 두 번째 의미의 법을 잘 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방법을 뜻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한비자』의 법과 술에 대한 견해, 즉 법은 일반 백성을 다스리는 성문법인 반면에 술은 군주가 신하를 다스리는 은밀한 ‘권모술수’라는 해석은 재고되어야 한다.
더보기In Han Feizi's political theory, fa 法 and shu 術 have been known as critical governing tools along with shi 勢. Scholars have generally claimed that fa refers to written laws in order to rule the people while shu means techniques for a ruler to control ministers in Han Feizi's ideas. This view is based on the “Dingfa” chapter of the Hanfeizi where Han Feizi describes Shang Yang as a theorist of fa and Shen Buhai as a doctrinaire of shu. It has been considered that Shang Yang's fa and Shen Buhai's shu influenced Han Feizi. However, fa is related to how for a ruler to select and evaluate ministers as well as to written laws in Han Feizi's theory.
For instance, Han Feizi states in “Youdu(有度)” chapter that a ruler should rest on fa in order to select and evaluate ministers. At the same time, he proposes “xingming cantong(形名參同)” as a principle, according to which the ruler assigns tasks to ministers in accordance with the words presented by them and requires accomplish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words. If their accomplishment, task and word are matched, they should be rewarded; otherwise, they should be punished. The principle of xingming cantong is neither documented, nor publicized. It is the principle by which the ruler should follow when he listens to ministers, assigns tasks to them and assesses their accomplishments. As shown in the chapters of “Youdu”, “Zhudao” and “Erbing”, xingming cantong can be said as the principle of fa, when fa is related to employing ministers. In this case, fa means ‘administrative techniques’ rather than written laws. In other words, it is not convincing to interpret the term fa as laws with legal codes, as has been claimed. And, the term shu refers to “methods” to be used in order to put the fa into practice. Therefore, the conventional view of fa and shu in the Hanfeizi--fa is written laws for a ruler to govern the people while shu means manipulative skills for him to control ministers--should be reconsidere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 KCI등재 |
2007-0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9 | 1.24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