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기호와 상징으로 재현된 국기 디자인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ty of National Flag Design Realized by Codes and Symbols in Modern Society
저자
손희영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KDC
658.0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3-187(15쪽)
제공처
전통적으로 국기는 그 나라의 국민과 국가를 상징하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기의 용도는 주로 한 나라 안에서만 의미를 갖던 이전의 관례를 벗어나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그 결과, 오늘날 국기는 국가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각 국의 고유한 특성들을 표현해내는 구실을 한다. 국가들 사이의 관계가 긴밀해지고 그와 함께 국기를 사용하는 일도 빈번해지면서, 특정한 국기들이 지니고 있는 시각적인 표현에 대한 관심 또한 증대(增大)되어왔다.
국기의 시각적 표현은 국기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에서 중요한 측면이다. 국기는 고유한 상징을 동원하여 다양한 이미지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려 한다. 그런데 어떤 국기들은 지나치게 복잡한 구조 때문에 잘못 해석되어 국가의 정체성을 손상하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정체성의 손상은 국기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는 데 장애가 된다. 이는 국기가 만들어진 원래의 의도와 그 사용 사이에 일종의 갈등이 있기 때문에 파생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어떤 디자인이라도 시간이 흐르면 그 의미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본래 그것이 지니고 있던 성격이나 정체성을 유지하는 범위 안에서 때에 따라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디자인상의 변화는 물론 해당 사회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정이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Traditionally, flags were used as symbols of nations, groups of people, or individuals. But since World war II, the national use of flags has been expanded beyond their original intent. Consequently, flags are being used internationally to visually communicate between nations while representing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countr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s and flags usage increase, concerns regarding the visual depiction of certain flags have increased accordingly.
Visual depiction of flags has been an important aspect of its communicative function. Representing an intrinsic symbol, the flag tries to visually communicate through the use of various components or image. Unfortunately, some flags are structurally complex, leading to problems when these flags are interpreted and devaluing the respective country's identity. The devaluation hampers the proper function of the flag in our modern society. This identity crisis arises, because of a struggle between original intent and the modern use of these flags. In essence, no design or trademark is timeless and must occasionally be updated while keeping the integrity and identity of the original message. The design must be adjusted in order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our societ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