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도의 해학적인 장치와 확장성 = 실험적 지도 그리기 탐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58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3-139(1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사례를 중심으로 지도 및 지도 제작 방식의 발전 과정과 사회· 문화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지도의 목적과 형식을 벗어나 특수한 맥락과 소통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새로운 매체나 방법으로서 지도의 확장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특정한 의미와 맥락을 소통하기 위한 실험적 지도의 사례들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과학적 요소인 해학적 기능이 지도에 적용될 수 있고 지도 활용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문헌연구방법과 사례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특정 목적으로 제작된 지도에서 나타난 해학성을 유머의 일반적인 이론과 기능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지도 제작의 과학적 편향성과 관련한 사회문화적인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문헌연구와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대상인 해학적 지도에 내재한 시각성의 양상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현대 지도 제작의 과학적 편향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실험적인 시각화 방법으로 해학적 지도의 특징과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지도 제작의 규범을 벗어나는 하나의 방법으로 해학의 역할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지원과 참여(사회적 유대감과 재미)유도, 그리고 호기심과 창의력을 자극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과학적’지도와 ‘해학적’지도 간 구분을 모호하게 함으로써 연구와 시각적 표현의 새로운 영역으로 부상하는 ‘하이브리드 지도 그리기’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여러 지도에서 흥미나 해학 등이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기능하는지의 사례를 바탕으로 현대 지도와 해학의 결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도란 ‘세상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것 ‘이라는 개념을 넘어 지도란 ‘고정적이고 안정된 것이 아닌 늘 새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주장에 도달하였다. 이렇게 본다면 기존의 지도 개념이 무한정 넓어 질 수 있다는 난점도 있지만, 새로운 관점으로 지도 그리기의 연구 대상과 범위를 넓히는 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각 표현으로서의 실험적(대안적) 지도 그리기 방식을 제안하였다.
Background : This study explored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the development of maps and mapping with a focus on cases. In this process, various methods were identified to deviate from the purpose and format of the traditional map. Thu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scalability of the map as a new medium or method of communication from a visual communication point of view. In particular, I tried to find a way to apply humorous functions which are considered to be nonscientific to the map and to broaden the scope of maps and mapping.
Methods : This study interpreted that a sense of humor appeared on maps which were produced for a particular purpose based on general theories and functions. By considering prior studie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cientific biases, it analyzed the aspects of the vis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humorous maps based on the research of these references and case studies.
Results : To find an alternative to the scientific bias of modern mapping, I have tried to locate the potential for combining humor and maps as a creative possibility. The role of humor is to deviate from a given set of rules. The universal norm of the traditional map is to support effective communication, to induce participation (for social bonding and fun), and to stimulate curiosity and creativity. In addition to that, I present alternative forms of maps to emphasize the function of humor through a ‘hybrid map drawing’, which emerged as a new area of research and visual expression by obscuring the simplified division between a ‘scientific’ map and a ‘humorous’ map.
Conclusions : Throughout this study, I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modern maps and humor based on examples of how interest or humor functions in various maps. And this study has expanded the concept of maps which are always ‘fixed and stable’ in general use. While the notion of maps may have been unnecessarily enlarged, it was an attempt to broaden the subject and scope of mapping in a new perspective. Additionally, it proposed an experimental (alternative) map drawing as a new visualization metho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6-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 | 0.4 | 0.721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