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산업 수준의 파생수요함수를 활용한 제조업 전력수요의가격탄력성 분석 = Estimation of Price Elasticity of Electricity Demand in Manufacturing Sector Using Derived Demand Function at the Industry level
As Korea's manufacturing share is higher than that of its competitors, electricity consumption is also high. However,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oil prices caused by the war between Ukraine and Russian, and rising cos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re is a lot of pressure to increase electricity rates. The price elasticity of electricity demand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check how sensitive electricity consumers are to changes in electricity rates. All previous studies estimated the price elasticity of electricity demand through the general demand function. Howev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electricity is not consumed as a final product. Instead the production that maximizes profit is determined and then the optimal power consumption is determined through adjustment between input factors, which implies the demand of electricity in manufacturing sector is the derived deman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ice elasticity of electricity demand for each manufacturing sector was estimated through the demand derived from the translog production function. As analysis data,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hich surveyed all 10 or more manufacturing employee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ce elasticity of electricity demand was less than -1 in all manufacturing sectors, so that electricity demand was very sensitive to electricity rate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ost incurred in the carbon-neutral process in the electricity price at an appropriate level, because even if the electricity price rises in the future carbon-neutral process, it will not significantly impair the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companies.
더보기한국은 경쟁국 대비 제조업 비중이 높음에 따라 전력사용량도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간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비용 상승 등으로 인해 전기요금 인상의 압박이 크다.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전력소비자들이 전기요금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기존 연구는 모두 일반수요함수를 통해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으나, 제조업은 전기를 최종재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정하고 이후에 투입요소 간 조정을 통해 최적 전력소비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제조업의 전력수요는 파생수요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랜스로그 생산함수의 파생수요함수를 통해 제조업 중분류별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분석 자료로 제조업 10인 이상 전수를 조사한 통계청의 ‘광업제조업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제조업 모든 업종에서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아 전력수요가 전기요금에 매우 민감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탄소중립 추진 과정에서 전기요금이 상승하여도 장기적으로 제조기업의 경쟁력을 크게 저해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탄소중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적정 수준에서 전력가격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4-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혁신학회 -> 한국혁신학회지외국어명 : 미등록 -> Innovation studies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8 | 0.449 | 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