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일본인의 생명관: 계보적 일고찰 = On the Japanese View of Lif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28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118(4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의 목적은 일본의 신화, 신도(국학), 불교, 유교, 신종교 등에서의 주요한 생명관을 기조로 삼으면서 일본정신사에 있어 생명관의 계보를 생성의 생명관, 무상의 생명관, 욕망의 생명관, 체념의 생명관, 무사(無私)의 생명관 등으로 유형화하여 고찰하는 데에 있다. 가령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신화가 보여주는 형이하학적인 몸적 상상력은‘우무+나루’문화에 속한 생성의 생명관과 절묘한 상응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헤이안 불교사상과 중세 가마쿠라 신불교사상은 현세중심적인 생명관의 일측면을 잘 보여주는데, 이는 중세 일본의 핵심적 에토스인 무상감에 대한 일본적인 반응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근세일본의 유교는 일찍이 주자학적 리(理)의 부정을 수반하면서 욕망의 에너지를 생명력으로 긍정하거나 혹은 정치제도를 통해 수렴하고자하는 기(氣)일원론적 유교로 정착되어갔으며, 이렇게 긍정된 인간의 욕망은 있는 그대로의 인정(人情)을 중시하면서 모노노아와레의 미학을 재구성한 노리나가 국학(歌論)에 이르러 그 정점에 도달했다. 이와 동시에 노리나가는 일본적 체념관념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하가쿠레』가 말하는 무사도적‘죽음의 각오’에 있어 생의 찬가로 이어졌다. 나아가 근대일본의 생명관은 생명을 키워드로 삼는 다이쇼시대의 다양한 사조들, 즉 다이쇼생명주의로 꽃을 피웠다. 이상과 같이 역사적으로 다양한 흐름을 보여주는 일본인의 생명관은 신종교의 생명주의적 세계관, 오에 겐자브로 및 무라카미 하루키 등의 현대문학, 애니메이션을 비롯하여 이야시붐이라든가 스피리츄얼리티 붐 등의 대중문화 영역에 이르기까지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계승되고 있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various types of Japanese view of life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ge, on the base of some major thoughts in Japanese mythology and religions including Shintoism, National Learning, Buddhism, Confucianism, new religions and so on. In dealing with the subject, this article will analyze five types of view of life,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such a key concept as Becoming(生成), Impermanence(無常), Desire(慾望), Resignation(諦念), Selflessness(無私). For example, while the prominent bodily imagination represented by Japanese myths shows a view of life in Becoming, Heian Buddhism and so called Kamakura New Buddhism in the medieval times largely rest on thisworldly view of life reflecting the feeling of Impermanence. On the other hand, Confucianism in Tokugawa period is characterized as one rejecting Neo-Confucian‘ Li’(理) and rather acknowledging all the human Desire as a kind of vital power that can be also found National Learning, especially in the aesthetics of Monono-aware of Motoori Norinaga. Furthemore, Norinaga’s thought is a main source of Resignation peculiar to Japanese people, which led to the way of the warrior in Hagakure. In addition, numerous Life principles in Taisho- Era were flourished as view of life related to Selflessness. Still, we can see another Japanese view of life among‘ Seimei-shugi’(生命主義) worldview of new religions, contemporary literature such as Ōe Kenzaburo and Murakami Haruki, and Japanese animations, too.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