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부여 상황리 일대 백제 고분군의 분포와 위상 =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Baekje Tombs in Sanghwang-ri, Buye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7-119(33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It has been transmitted that there are royal tombs from the Baekje period in Sanghwang-ri, Jangam-myeon, Buyeo based on records in literature and the content of tombstones. There are four clusters of ancient tombs including alleged royal tombs of Baekje.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distribution and status of Baekje tombs around Sanghwang-ri.
Alleged royal tombs of Baekje is arranged so that the three tombs form a triangle, and No. 1 of them is estimated that the burial mound was 12m in diameter. It was a stone chamber tomb. Artifacts made of gold were excavated in the tomb along with lac- quered oil lamps. Alleged No. 1 Royal Tomb of Baekje seems to have been built for a nobleman or local chief based on its similarities in tombs of Dunsan-ri. Also Alleged royal tombs of Baekje are situated in an independent section unlike other tombs of Baekje, which means that they have a unique location in that it is not found in ancient tombs of similar hierarchy.
The tombs where alleged Sanghwang-ri artifacts (former Hahwang-ri artifacts) were collected were stone chamber tombs made of plate stones in stack and in the structure of hexagonal type ceiling. Flower-shaped silver hat ornaments collected from the tombs are major artifacts from the Sabi period of Baekje. In addition, it is said that golden ear- rings, yarn, and swords were also excavated in the tomb. These artifacts indicate that the tombs had relatively high hierarchy.
In this sense, the tombs of Baekje around Sanghwang-ri are located south of the Sabi capital city and include tombs of high hierarchy equal to the royal family. Other tombs were built around them including tombs of high hierarchy with flower-shaped silver hat ornaments buried in them. This pattern has not been found in local tombs as well as tombs outside the Sabi capital city.
부여 장암면 상황리 일대에는 이전부터 문헌기록과 묘단비의 내용 등을 근거로 백제 때 왕릉이 있었다고 전해오고 있다. 상황리에는 傳 백제왕릉 외에도 왕림마을과 그 동쪽의 화림마을 일대, 그리고 은화관식이 수습된 舊 하황리 수습유물 등 4개소에서 고분군이 분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상황리 일대 백제 고분군의 분포 와 그 위상을 파악해보았다.
상황리 傳 백제왕릉은 3기의 고분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중 1호분의 봉분은 직경 10~12m 정도이다. 고분은 횡혈식석실묘로 내부에서는 금(금동)으로 만든 유물과 옻칠을 한 등잔 등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傳 백제왕릉 1호분은 봉분의 규모와 석실묘의 구조 등에서 둔산리 석실분과 비슷하여, 적어도 귀족이나 지방 수장급 정도의 위계는 가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傳 백제왕릉은 능선 말단부의 독립된 구역에 입지하고 있으며, 세부 가지능선에 따라 고분이 배치되는 양상도 능산리고분군과 견줄 만하다. 이는 비슷한 위계에 있는 고분군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입지상 특수성을 갖고 있다.
傳 상황리 수습유물(舊 하황리수습유물)이 출토된 고분은 판석으로 축조된 횡혈식석실묘로, 평사천장의 구조로 보인다. 그중 은화관식은 고분이 사비기 중요 고분이었음을 보여주며, 이외에도 금제 귀걸이와 금사, 금도 등도 출토되었다고 전하고 있어 비교적 위계가 높은 고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상황리 일대 백제 고분군은 사비도성 외곽(남쪽)의 고분군이지만, 왕족급이나 이에 버금가는 위계의 고분이 존재하고, 인근에도 은화관식이 부장될만큼 위계 있는 고분들도 있었다. 이는 사비도성 외곽고분군은 물론이고 지방 고분군에서도 전혀 볼 수 없었던 양상으로, 상황리 일대가 차지하는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3-08-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전통문화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Heritage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상현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