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식학의 심리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 The Status of Mana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Yogācāra syste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3-238(36쪽)
제공처
소장기관
Early Buddhism and Abhidharma Buddhism explained diverse cognitive and mental phenomena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six consciousnesses, as presented through the framework of eighteen realms (dhātu), and also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In particular, Abhidharma Buddhism acknowledged that citta can be distinguished into three different appellations of mind, thought and consciousness according to its operative modes. Abhidharma Buddhism, however, saw these three terms as having no specifically distinct mental statuses, as it regarded them as mental modes occurring on the surface of mind.
In the history of Yogācāra philosophy, this problem of mind, thought, and consciousness was set forth anew with its introduction of the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which is characterized by multilayeredness and dynamicity unseen in the Abhidharma theory of mind. Thereafter, Yogācāra philosophy accepted the Mahāyāna position of cognitive and mental phenomena (caitasika), and presente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deep consciousness (i.e., unconsciousness), as well as its epistemological and soteriological contexts―thereby revealing how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mental phenomena underwent changes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this respect, the present paper pays attention to the Yogācāra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which shows the close and consecu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henomena and deep consciousness in a more dynamic and multilayered fashion than the structure of six consciousnesses in the eighteen realms does.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at explicating the status and role of the seventh consciousness called manas has in epistemological and soteriological contex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this aim,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descriptions of the ālayavijñāna and eight consciousnesses as appearing in the Saṃdhinirmocana, the “Viniścayasaṃgrahaṇī” section of the Yogācārabhūmi, the Madhyāntavibhāga, the Mahāyānasaṃgraha, the Triṃśikā, etc. This paper thus explicates the process, in which the theory of eight consciousnesses was established, and the role and status manas has in the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to a certain extent in the history of Yogācāra philosophy.
초기불교와 아비달마불교에서는 18계에서 제시되는 6식의 구조와 심·심소의 관계로서 인식현상과 다양한 심리현상들이 설명된다. 특히 아비달마불교에서는 마음 자체(心, citta)를 나타내는 심·의·식은 작용양상에 따라 명칭상 서로 구분되지만, 본질적으로 표층적인 심리양상을 나타내는 그 심리적인 위상은 별다른 차별이 없다.
한편 유식사상사에서 심·의·식의 문제는 아비달마불교와 달리 보다 중층적이고 역동적인 8식의 구조로서 새롭게 정립되었다. 특히 인식현상과 다양한 심리현상(心所, caitasika)들은 대승적인 입장을 반영하여, 주로 의식과 심층의식(무의식)의 그 역동적 관계 속에서 인식론적·수행론적 맥락에서 그 사상적 변용의 전개양상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논문은 유식사상사에서 인식의 구조상 18계의 6식의 구조에 비해 보다 중층적·역동적인 인식현상과 심층의식의 긴밀한 그 연쇄적 인과관계를 제시하는 8식의 구조에 주목하여, 특히 제7식 말나식의 위상과 역할을 그 인식론적·수행론적 맥락에서 다각적으로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해심밀경』의 아뢰야식이나 「섭결택분」의 8식 관련기술을 비롯한 『중변분별론』과 『섭대승론』, 그리고 『유식30론』 등의 8식 관련기술들을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유식사상사에서 8식의 성립과정과 8식의 구조에서 말나식이 가지는 역할과 그 의의를 어느 정도 해명한 것이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