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에 근거한 종교학 교육과정의 문제점 = Problems of the ‘Science of Religion’ Curriculum as Based on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저자
박상진 (장로회신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64(30쪽)
KCI 피인용횟수
12
DOI식별코드
제공처
From 2014 onwards, according to the national Department ofEducation, the subject previously called ‘Life and Religion’ will changeits name to ‘Science of Religion’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Christianschools wishing to teach the Christian faith according to their foundingphilosophy now must choose the subject ‘Science of Religion.’ However,the change from ‘Life and Religion’ to ‘Science of Religion’ does not stopat the mere title of the subject, but means that the identity of thesubject is also changed. Teaching religion is different from teaching ascience of religion. Teaching a science of religion emphasizes a cognitiveand objective understanding about religion rather than experiencingreligion itself. The change from ‘Life and Religion’ to ‘Science of Religion’raises problems in that it undermine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faith.’As is well known in Korean church history, H. G. Underwood and H.
G. Appenzeller founded the first Christian schools in Korea in the1880s. At that time, the Bible was taught directly in the Christianschools. Although Christian schools were persecuted in time under therule of Japanese imperialism, Christian schools continued teaching theChristian faith on the basis of their founding philosophy. From the 4th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fter the high-school equalizationpolicy, the subject of ‘Religion’ has been included officially among the subjects of general education. From this time on, although Christianschools were private schools, the curriculum of religion in those schoolswere ruled by the curriculum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oday,Christian schools are now required to teach ‘Science of Religion’ by thecurriculum policy,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founding philosophyof Christian schools.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Science of Religion’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In order toanalyze this problem, I will study the history of change in thecurriculum of religious education, and analyze the meaning of and thelimitations imposed by the change to ‘Science of Religion’. Finally, I willsuggest alternative approaches to overcoming this problem of religious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오는 2014년부터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 기존의 ‘생활과 종교’라는 명칭의 종교과목이 ‘종교학’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된다. 기독교학교가 건학이념에 따라 ‘신앙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이 교양 과목 중 종교학을 선택하여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생활과 종교’에서 ‘종교학’으로의 교과목 변경은 단지 명칭의 변화가 아니라 정체성의 변화라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종교를 가르치는 것과 종교학을 가르치는 것은 동일한 것이 아니다.
종교학을 가르치는 것은 종교에 대한 지적 이해만을 강조하고 종교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도록 하기 때문에 종교를 경험할 수 없다. ‘생활과 종교’에서 ‘종교학’으로의 변화는 사실 특정종교의 신앙교육의 가능성을 거의 제거한 것이기 때문에 엄청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기독교학교는 1885년 이후부터 언더우드와 아펜젤러가 세운 경신학당과 배재학당의 개교로 시작되었는데, 초기 기독교학교는 자율적으로 직접 성경을 교수하였다. 일제시대에는 기독교학교에 대한 일제의 탄압이 있었으나 기독교학교는 종교계 사립학교로서건학이념에 근거하여 신앙교육을 지속해왔던 것이다. 그런데 평준화 정책 이후인 제4차교육과정 시기부터 교육과정에 교양 선택으로 종교과목이 개설되었고, 이때부터 국가가정해주는 종교과목 교과과정에 의해서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정부와 기독교학교 간에 교육과정에 대한 이견으로 갈등이 심화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 종교과목의 명칭이‘종교학’으로 바꾸어지게 되면서 기독교학교의 건학이념과는 너무나 상이한 종교교육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 글은 ‘종교학’으로서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에 근거할 때 어떤 문제점을 갖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서 종교교육에 있어서 교육과정 변천사를 파악하고, 종교학으로의 교육과정 변화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 한계성을 지니는지를 파악하려고 한다. 그리고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에 근거해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3-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등재 |
2014-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6-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후보 |
2006-06-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87 | 1.101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