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특수영역으로서의 초등국어교육 방향 탐색 = A study on the future prospect of special domain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저자
박인기 (경인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KDC
7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6(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pecial domain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hat deals with special object, content and method, contrary to general content and method of Korean language arts in average of language arts classroom.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t take place many special domain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o which we should pay attention and construct with new interest. The special domain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must be examined its possibility in terms of the 'problem finding - problem solving'. Because it has educational property to meet the need of 'here and now' rather than traditional and universal mode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he special domain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has mainly taken on educational character of pragmatism and openness. From this point of view,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s in need of the method of social science for its research and application. The special domain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are classified followings. 1) speciality of educational object, 2) speciality of educational and social situation, 3) speciality of educational contents, 4) speciality of educational method, 5) speciality of educational need.
As socio-cultural environment changes, the special domain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will derive many other special domains of education successively. According to the spec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vocations in modern society, vocational divisions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will be emphasized. If a special domain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develops qualitatively to the critical point, the speciality of that domain be relieved.
And then a part of the special domain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will be incorporated into the general domain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distinction between general domain and special domain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mutuality.
It is necessary to make curriculum innovation to provide for demand for the special domain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constantly. It is desirable that those curriculum innovation lead to develop many practical program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n the special domains.
이 논문은, 보편적 내용과 방법으로 평균적 학생을 다루던 국어교육이 아닌, 특수한 대상, 내용, 방법, 요구를 다루는 국어교육의 특수영역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기존의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국어교육의 영역에 들지 않았으나, 미래의 사회·문화 환경 변화에 따라 국어교육이 관심을 기울이고 새롭게 건설해야 할 특별한 영역들이 생겨나고 있다.
‘특수영역으로서의 국어교육’은 <문제발견-문제해결>의 관점에서 그 가능성을 살펴야 한다. 특수영역으로서의 국어교육은 ‘지금 여기’의 필요에 부응하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수영역으로서의 국어교육’은 주로 실용주의의 가치와 진보적 가치의 성향을 띠고, 학문적 성격 차원에서 보면 국어교육의 사회과학적 특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띤다.
특수영역의 국어교육들은 1) 대상의 특수성에 따른 특수영역 국어교육, 2) 상황의 특수성에 따른 특수영역 국어교육, 3) 내용의 특수성에 따른 특수영역 국어교육, 4) 방법의 특수성에 따른 특수영역 국어교육, 5) 요구의 특수성에 따른 특수영역 국어교육 등으로 나뉜다.
특수영역으로서의 국어교육은 또 다른 특수영역을 연달아서 불러 올 것이다. 직업의 분화 발전에 따라 ‘직업문식성’을 강화하는 커리큘럼 또는 ‘직업분야 언어교육 커리큘럼’이라는 개념이 등장할 것이다.
특정의 특수영역으로서의 국어교육도 그것의 질적 발전이 어떤 임계점에 이르면, 그 특수성 자체가 완화된다. 그렇게 되면 특수영역 국어교육의 일부는 보편적 국어교육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국어교육의 특수영역과 보편영역 사이의 차별성을 탐구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다. 이들 양자의 차별성 탐구가 잘 이루어질 때 양자 간의 상호성은 크게 발전한다.
특정의 ‘특수영역 국어교육’에 대한 소수 수요자들의 수요에 대비하는 교육과정 혁신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또 특수영역으로서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은 국어사용을 실천의 차원에서 체득하고 내면화 할 수 있는 언어적 과업(task)을 적절하게 부과할 수 있어야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 | 0.9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4 | 1.458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