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자연과 몸-주체의 상관성 및 미적 주체의 주관성에 관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56(26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차이를 내포한 모든 존재자의 차이장으로서 자연의 고유한 특성을 밝히고, 자연과 몸-주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드러나는 자연-속으로의-몸(자연-속으로의-존재)을 해명하면서, 자연과 몸-주체 사이에서 상호작용적 맞물림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며, 이에 근거하여 미적 주체의 주관성의 고유성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칸트에게 있어서 자연이란 감각 대상들의 전체로서의 자연이다. 메를로-뽕띠에게 있어서 자연이란 모든 존재자의 전체로서의 자연이고 동시에 전체적 존재의 층으로서의 자연을 의미한다.
우리는 자연세계가 물리적 존재의 질서 층, 생명적 존재의 질서 층 그리고 인간적 존재의 질서층을 드러낸다고 말할 수 있다. 자연적 세계는 모든 지평들의 지평이고 모든 양식들의 양식이다.
차이장으로서 자연은 ‘자연화함’과 ‘자연화됨’의 상호작용적 자연임을 말할 수 있다. 자연과 몸-주체는 존재의 두 층이고, 또한 자연 속에서 몸-주체의 몸과 정신은 ‘자연 속 몸-주체’의 존재의 두 층이다. 이 장소에서 지금 미래를 머금으면서 그 어떤 자연으로 나아가는 몸은, 자연-속으로의-몸이고 자연-속으로의-존재이다. 자연 속에서 ‘자연화함’은 ‘기초지움’을 의미하고 ‘자연화됨’은 ‘기초지워짐’을 의미한다. 몸-주체와 자연적인 것은 각각 차이와 함께 융합을 행하고, 융합 속의 통일과 통일 속의 차이와 그 가능적 차이를 함축한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전체로서의 상호작용융합통일차이의 존재적 세계를 “차이장 속의 상호작용융합통일차이의 존재적 세계”(차이장-속-사이세계)로 부르고자 한다.
미적 주체의 주관성은 회화, 음악, 영상 예술 등의 예술세계에서 가장 좋은 자신의 표현을 얻기 위해 예술적 소재를 바탕으로 예술미를 표현하는 가운데 드러난다. 이 주관성은 “미를 표현할 수 있음”“미를 표현하고자 함”의 주관성이다. 미적 주체의 주관성이란 <미를 할 수 있음><미를 하고자 함>의 주관성으로서 <미적 감각능력으로서의 주관성, 미적 지각능력으로서의 주관성, 미적 감정으로서의 주관성, 미적 의식으로서의 주관성, 미적 의지로서의 주관성>임을 뜻한다. 이러한 주관성은 통일성으로 지향하여 차이장 속에서 주관의 통일을 이루어, 차이를 머금은 통일적 주관성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Cette thèse vise à élucider la caractéristique propre de la nature comme 'le champ de la différence' qui implique les différences, à expliquer la caractéristique structurale de l'enlacement de l'interaction en éclairant le corps-dans et à-la nature(l'être-dans et à-la nature) qui se déploie par l'interaction entre la nature et le corps, à élucider la propriété de la subjectivité du sujet esthétique par cette élucidation.
La nature est la nature comme la somme des objets des chez Kant. La nature veut dire la nature comme la totalité de tout l'étant, et à la fois comme la couche de l'être total chez Merleau-Ponty. Je peux parler que le monde naturel maqnifeste la couche d'ordre de l'être physique, de l'être vital et de l'être humain. Le monde naturel est l'horizon de tous les horizons, le style de tous les styles. Je peux parler que la nature comme le champ des différences est la nature de l'interaction de 'naturant' et 'naturé'.
La nature et le corps-sujet est deux couches de l'être, le corps de le corps-sujet et l'esprit de le corps-sujet sont deux couches de l'être de 'le corps-sujet dans la nature' dans la nature. Le corps qui a l'intention à une certaine nature en prenant le future maintenant dans cette place, est le corps-dans et à-la nature, l'être-dans-à la nature 'naturant' dans la nature signifie 'fondant', 'naturé' signifie 'fondé'. Le corps et le naturel l'un à l'autre font les fusions avec les différences, ils impliquent les unifications dans les fusions et les différences et les différences possibles dans les unifications. Dans ce sens, je veux appeler le monde ontique de interactionfusion unificationdifférence comme totalité "le monde ontique de interactionfusionunification différence comme le champ de la différence"(Intermonde dans le champ de la différencc).
La subjectivité du sujet esthétique se déploie en exprimant la beauté artistique sur la base de la matière à acquérir la plus bonne expression dans le monde d'art, la peinture, la musique, l'art visuel etc. Cette subjectivité est la subjectivité de “pouvoir exprimer la beaute”“ vouloir exprimer la beauté”. La subjectivité du sujet esthétique signifie <la subjectivité comme la faculté de sens esthétique, l'émotion esthétique, la conscience esthétique, la volonté esthétique> comme <pouvoir … la beauté><vouloir la beauté>. Je peux parler que cette subjectivité fait la unification du sujet dans le champ de la différence par l'intentionalité de la unification, et que elle se fait la subjectivivté unificatrice à prendre la différenc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