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수입농산물의 위해성과 대응방안 = The Hazard Problems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Korean
KDC
522.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0-49(10쪽)
제공처
중단사유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렴한 외국산 농수산물의 수입 급증은 국내 市長構造를 왜곡하는 동시에 부패, 유해농약 등의 문제를 야기함으로써 국민건강에 대한 위협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수확 후 처리되는 농약문제나 영국에서 발생한 광우병 파동,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중국산 식용 쌀의 고독성 농약살포 문제 등은 수입개방과 식품안전성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따라서 수입농축산물에 대한 통관 및 검역제도는 국민의 건강을 유해한 수입농산물로부터 보호하고, 농산물 수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대표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수입 축산물 위생검사의 경우 위생검사기준은 보건복지부가 관장하면서 위생검사는 농림부 산하의 동물 검역소가 맡고 있는 등 보건복지부와의 협의 이견조정 등으로 검역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여건이다. 또한 수입개방의 확대에 따라 수출입 검역물량이 증가하고, 품목다양화 수입선 다변화로 전문인력과 장비가 요구되는데도 아직 정부의 지원이 이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수입을 억제하는 데에만 치중했기 때문에 검역기술면에서의 변화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여기에 미국이 1994년 4월과 1996년 5월 두 차례에 걸쳐 우리나라의 농산물수입검사에 문제를 제기, WTO에 제소하는 등 지속적인 압력에 따라 당초 검사규정들이 완화되고 있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정부는 통상마찰 예방을 위해 검역제도를 국제규정에 맞춰 신속히 개선하고, SPS(Sanitary and Phytosanitary) 등 국제규정이 허용하는 철저한 검역 제도를 도입, 운용해야 한다. 또한 검사인력과 장비의 보강과 함께 외국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는 현재의 유해 물질 잔류허용기준을 우리의 현실에 맞도록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
그리고 수입식품의 전면적인 개방에 따른 식품위생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식품안전성 관리 강화와 식품기준 및 규격의 과학화가 필요하며, 수입식품 검사제도의 효율성제고 및 사후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im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is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However, many countries have strictly limited about hazardous impered agricultural products to food safety of themselves.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include various agricultural chemicals and food additives. In order to secure food safety,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scientific quarantine system and to develop agricultural chemicals that do not endanger the health of our nation. And every supplier including importers need to satisfy of consumers than their own profits. Consumers should also prefer to safe foods in the country and farmers should make efforts to product safe and qualified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be improved quarantine system to prevent national confliction and introduced Sanitary and Phytosanitary(SPS) by international rules. There is means to preserve health of our nation from hazardous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develop quarantine syste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