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하곡선생조천기(荷谷先生朝天記)』와 중국인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2-82(31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하곡선생조천기』는 하곡 허봉(荷谷許篈, 1551∼1588)이 선조(宣祖) 7년(1574년)에 명조(明朝) 제14대 황제 신종(神宗)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성절사행(聖節使行)에 서장관(書狀官)으로 참가하여 기록한 사행일기이다. 이 사행에서 허봉은 24세의 젊은 나이로 서장관이란 큰 직책을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직책과 그의 학문적 능력에서 나오는 자신감으로 명사(明士)와 활발한 학문적 논쟁을 펼쳤다. 허봉 일행이 명조에 사행한 명목적 이유는 신종 황제 생일 축하였지만 당시 조선의 현안 문제였던 종계변무(宗系辨誣)와 함께 문묘종사(文廟從祀)에도 큰 관심이 있었다. 종계변무는 이성계가 고려말의 이인임의 자손이라는 『명태조실록』과 『대명회전(大明會典)』의 잘못된 기록을 시정하려던 것이고, 문묘종사문제는 문묘에 배향하는 유현(儒賢)에 대한 시비인데 도통의 정통성에 관한 문제로 조선조에 있어서는 중요한 정치문제이자 교학 문제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허봉은 명조의 생원(生員) 하성시(賀盛時), 국자감생(國子監生) 섭본(葉本) 등과 논쟁을 벌여 양명학의 이단성과 왕양명(王陽明)의 문묘종사에 대해서는 부당성을 강조하였고, 거인(擧人) 왕지부(王之府), 국자감에서 만난 양수중(楊守中) 등 명조의 주자학자와는 강한 연대감을 보였다. 허봉은 사행 중 상중(喪中)에 술을 마시고, 고기를 먹는 요동, 심양 지방의 풍습과 사인(舍人) 무리들의 무례한 행동을 보고 명조가 ‘이름은 중국이나 사실은 오랑캐와 같다(名為中國, 而其実無異於達子焉)’고 기록하고 있다. 이렇듯 ‘예악문물(禮樂文物)’의 유무로 화이(華夷)를 구별한 허봉은 유교와 예악문물과 성현(聖賢)의 본향이라고 여겼던 명조에서 사학(邪學)이라고 여긴 양명학이 번창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도교신앙과 불교신앙이 크게 유행하고 있는 것을 접하고서는 ‘명조=중화’ 인식에 회의를 하게 된다. 근세 유가 지식인의 ‘화이관’은 고정된 것이 아니었다. 즉 예의가 있으면 소인도 군자가 될 수 있지만, 예의를 잃으면 군자도 소인으로 전락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악문물’이 존재하는 곳이 ‘華’이며 존재하지 않으면 ‘夷’로서 평가했던 것이다.
더보기『Hagok Seonsaeng Jocheongi』is the envoy’s diary recorded by Hagok Heo bong (1551~1588) when he participated in the envoy’s imperial holiday trip to celebrate the birthday of the 14th Emperor Shinjong of the Ming Dynasty as a recording officer in the 7th year (year 1574) of King Seonjo. In this trip, Heo bong discharged the great duties of a recording officer at the young age of 24 and had lively academic discussions with Ming’s scholars based on the confidence of his position and his academic ability. In addition to celebrating the birth of Emperor Shinjong,the envoys were also interested in the Jonggyebyeonmu (clarifying falsehoods in the royal descen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unmyojongsa (memorial rites at Confucian shrines) which were pending issues in Joseon at that time. The Jonggyebyeonmu intended to correct the errors in 『The History of Ming Taejo』 and 『The Daemyeonghoijeon』 that Yi Seong-gye was a descendent of Lee In-im during the last period of Goryeo, and the problem of the Munmyojongsa (memorial rites at Confucian shrines) was the right and wrong about the great Confucian scholars whose mortuary tablets were put in the Confucian shrine and it was the problem of legitimacy of dotong and the important political problem and education and scholarship problem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background, Heo Bong argued with the scholar Ha Seong-si and the Gukjagam scholar Seop Bon of the Ming Dynasty and emphasized the heresy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the iniquity of Munmyojongsa (memorial rites at Confucian shrines) for Wang Yangming, and showed astrong feeling of solidarity with scholars of the doctrines of Chu-tzu in the Ming Dynasty, Geoin Wang Ji-bu and Yang Su-jung whom he met at the Gukjagam. Heo Bong saw the custom of Yodong and Shenyang province where people drank alcoholic beverages and ate meat whilemourning for the dead and the rude behavior of the officials during the trip ofthe envoys, wrote,“The Ming Dynasty has the name Jungguk, but in fact they are like barbarians (名為中國, 而其実無異於達子焉)”. As such, Heo Bong, who discerned the civilized from barbariansby observing whether ‘etiquette, music and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existed or not, knew that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which was regarded as evil learning, was flourishing and in addition to that Taoism and Buddhism were largely popular in the Ming Dynasty,which he regarded as the home of Confucianism, ‘etiquette, music and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the sages, and was skeptical that ‘Ming Dynasty = Junghwa’. The “view of the civilized and barbarian’ of the pre-modern Confucian intellectual did not predetermine the civilized and barbarian. Namely, with etiquette a petty person can become a gentleman, but if he is rude, a gentleman can fall to a petty person, he evaluated that the place where ‘etiquette, music and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exist was ‘Hwa’ and the place where they did not exist was ‘the barbarian’. In this article, such a glimpse of the specific appearance of exchange of thought in East Asia in the 16th century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record of Heo Bong who visited Ming in pers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6 | 1.013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