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ICT 분야 규제개혁 정책 방향과 시사점: 지능형교통체계(ITS) 추진 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gulatory reform in the ICT secto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ed on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1-198(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roblem of regulatory reform, which can be said to be an unfinished task,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the agend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gulatory reform is recognized as the key to national growth and an essential element for national survival.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ICT convergence and science and technology, a new policy approach that pursues social change and national growth strategy is requir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nt related to regulatory reform, this study analyzed the ways in which regulatory reform work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improved into effective regulations and produce results. Successful regulatory reform requires judgment on 'regulation', regulatory re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regulation, review of the regulatory environment and accumulation of regulatory knowledge, setting clear reform directions and linking policy goals, and selecting appropriate and appropriate reform measures. The policy implications suggested by the research results for successful regulatory refor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as follows; Resolving problems with overlapping laws and norms, securing timeliness and responsiveness to environmental changes, establishing an integrated promotion system and coordination mechanism,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ministries and active administrative execution, and strengthening collaboration and support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더보기미완의 과제라고 할 수 있는 규제개혁의 문제는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로 빠르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더욱 중요한 의제가 되었다. 규제개혁은 국가 성장의 핵심이 아니라 오히려 국가생존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ICT 융합과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을 기반으로 하는‘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사회경제 전반의 변화와 국가성장 전략의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정책 접근이 요청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정부의 활동을 살펴보면 정책적 차원에서 범정부적으로추진한 진흥과 촉진 노력은 결국 추진과정에서 각종 규제와 법규에 충돌되어 답보되거나 정지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규제개혁과 관련된 이론적 주안점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규제개혁 작업이 어떻게 융복합 환경에서 실효성 있는 규제로 개선되고 성과를 낼 수 있는지 ITS 추진 경험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규제 유형별 규제개혁과 '규제'에 대한 판단을 전제로 규제개혁을 추진해야 하며, 규제와 규제환경에대한 검토와 지식축적, 명확한 개혁방향 설정과 정책목표의 연계, 적절하고 적합한 개혁수단의선택이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결과로 향후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성공적인 규제개혁을위해서는 법제 중복 및 규범체계성 문제의 해결, 환경변화에 대한 적시성과 대응성 확보, 통합추진체계와 조정 메커니즘의 구축, 부처의 자체 역량 강화와 적극적 행정집행, 관계기관 간 협업과 지원강화를 제시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10-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7-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graduate of governance ->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5 | 0.645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