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현몽쌍룡기>에 나타난 친정/처가의 형상화 방식 = The Concept of the Wife's Family in HyunMongSSangYongG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25-362(38쪽)
제공처
본고는 <현몽쌍룡기>의 남녀주인공을 통해 혼인 후 새롭게 관계 정의를 내려야하는 처가와 친정과의 거리 조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몽쌍룡기>의 조무ㆍ정채임 부부에게서는 소인형 장인을 멸시하고 처가를 박대하는 남성인물과 친정에 대한 끈을 심정적으로나 현실적으로 놓지 못하고 남편의 핍박에도 불구하고 유지하고 있는 여성인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ㆍ양옥설 부부에게서는 처남의 반란행위로 가문 존립의 위기에 처한 처가를 돕는 남성인물과 동기간의 우애를 지키고자하며 친정부모를 그리워하는 여성인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몽쌍룡기>의 서술자는 이들 부부의 모습을 통해 여성들이 혼인 후에도 본가(本家)인 친정과 심정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가깝게 지내고자하나 남편이나 시가(媤家)의 제지 아래 어려웠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정채임을 통해서는 친정 일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모습을, 양옥설을 통해서는 심정적으로 그리워하는 모습으로 보여 주었다. 또한 가문과 가문 간의 결속인 혼인을 통해 남성들이 처가를 정치적 부침을 함께 할 수밖에 없는 상대로 인식했던 점을 조무ㆍ조성을 통해서 보여 주었다. <현몽쌍룡기>의 서술자는 여성들에게 친정은 자신의 근원지로서 언제까지나 감정적으로 가깝고자 했던 공간이지만 혼인과 동시에 멀어져야만 했던 공간이며, 남성들에게 처가는 감정적으로는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되 정치적으로는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야만 했던 공간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observing the leading characters in HyunMongSSangYongGi and determining how the concept of the wife's family changes and how close a woman should be with her birth family after marriage. Through Cho-mu and Cheong Chae-im, a married couple in HyunMongSSangYongGi, the story portrays a husband who has no respect for his father-in-law and torments his in-laws, and a wife who cannot part with her birth family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despite her husband's oppression. Another couple in the novel, the Cho-sung and Yang Ok-sul couple, show a husband who protects his in-laws who are being threatened due to the rebellious behavior of their son, and a woman who is loyal to her colleagues and deeply misses her mother and father.
In the story, the narrator depicts the lives of women who wish to have a close physical and mental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but cannot do so because of the pressure from their husbands and their husbands' family. Cheong Chae-im represents women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their birth family issues, and Yang Ok-sul represents women who miss their family. In addition, through the two male characters, Cho-mu and Cho-sung, the story shows how husbands back then viewed marriage as not just the unification of two people but two families, and felt responsible for the political rise and fall of their in-laws. The storyteller indicates that, at the time, women had to mentally part from their birth family despite their attachment to their place of origin, whereas men basically kept a certain distance from their in-laws but at the same time established a friendly political relationship with the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