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찰 내부고발자 보호 한계에 관한 연구 : 미국 연방대법원 판례 비교 분석 = A Study on Protection of Whistleblowers in Korean Police Organizations -A Comparative Analysis of Garcetti v. Ceballo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23-248(26쪽)
제공처
소장기관
2012년 대통령 선거 직전 국가정보원 선거 개입과 관련하여 당시 서울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경정 권은희에 대한 전 서울지방경찰청장 김용판의 수사 중단 압력 의혹에 관하여 정당한 내부고발인지 또는 경찰조직의 안전성을 해치는 일탈행위에 불과한지에 대한 뜨거운 논쟁이 있었다. 그러나 권은희 수사과장의 사직 및 최근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에 대한 대법원 무죄판결 등으로 인하여 경찰 내부고발의 한계 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 없이 경찰, 학계의 관심 밖으로 사라졌다. 공적영역, 사적영역을 막론하고 어떤 조직에서도 내부고발이 환영받지 못하는 현실에서 경찰조직 내부고발이 무조건적으로 억제되면 내부고발자의 표현의 자유, 일반 국민의 알 권리 등 헌법으로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으며 국가정보원 선거 개입 사건과 같은 심각한 국기 문란으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특히 경찰조직의 폐쇄성, 엄격한 상명하복이 강조되는 조직문화, 외부감시제도의 미비 등으로 인하여 내부고발이 억제되면 경찰 내부의 불법행위에 대한 통제는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권은희 사건을 기회로 내부고발과 표현의 자유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판례(Garcetti v. Ceballos)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경찰의 내부고발제도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내부고발과 관련된 표현의 자유 보호 및 경찰조직의 안정이라는 두 가지 이익의 충돌 시 우선 순위 설정과 내부고발의 한계에 대한 비교법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더보기On December 2012, just a few days before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Kwon Eun-hee, a police superintendent at Suseo police station, in charge of the investigat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Agency's alleged election interference held a press conference, which instantly gained public attention across the country. During the press conference, Superintendent Kwon claimed pressure from the Commissioner of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Kim Yong-pan, alleging that Kim called Kwon to reduce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in an effort to affect the presidential election result. As Superintendent Kwon resigned from the Korea National Police and became a congresswoman as well as Kim was finally acquitted, the debate on the protection of Kwon as a whistleblower has receded into the past. Nevertheless, whistleblow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integrity within public organizations. Furthermore, whistleblowing is a legitimate exercise of the constitutionally protected rights. On the other hand, public employees' right to free speech can be limited in comparison with the government's interest in operating an efficient workplace.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ssue of Superintendent Kwon's whistleblowing event, focusing on whether her press conference can be protected by the Korean legal system. The study also attemp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 under Garcetti v. Ceballos decided by the U.S. Supreme Court in 2006. By doing so, the current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for better protection of whistleblowers within police organizations in Korea.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