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불교의례무(佛敎儀禮舞)의 연원(淵源)과 감노탱화(甘露幀畵)에 나타난 작법무(作法舞) 고찰 = The origin of buddhist dance in ritual and the study about Jakbeopmu on Amrita paint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5-444(30쪽)
제공처
본고에서는 작법무의 기원과 조성배경을 문헌적 고찰과 도상적 고찰을 통해 最古연대를 추적하였으며, 더불어 감로탱화에 전개된 작법무 유형과 악기구성 및 복식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작법무의 연원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모든 공양의식은 악 · 가 · 무가 함께 봉행되었을 것을 전제로 범패의 역사와 동일하게 보는 것이다. 즉, 범패는 6세기 초 기록이 最古의 기록으로 이 시기에 공양무(供養舞) 또한 함께 거행되었으리라 본다. 둘째, 8세기 중반에 찬술된 『약술금강정유가분별성위수증법문』에서 금강가보살(金剛歌菩薩), 금강무보살(金剛舞菩薩)이 등장한다. 의식문은 경전을 근거로 그 시대에 성행했던 사상과 문화가 융합하여 제도화한 측면이 있는데, 이것에 견주어본다면 작법무의 시연은 적어도 1200년의 역사를 갖게 된다. 셋째, 현행의식무의 일종이 실제로 기록된 것은 1496년 기록으로, 현행의 식형태의 작법무는 500년 이상의 역사 속에서 전승발전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상학적 전거는 조선 중기 이후 감로탱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감로탱화에는 작법무가 잘 묘사되어 있으며, 악·가·무의 형태가 비교적 상세히 그려져 있어 불교의례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더불어 의식진행시 사용되는 여러 법구와 작법무의 종류, 복식, 장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 생활풍습과 기예, 춤동작 등 대중적인 성격을 지닌 소중한 문화적 자료이자 역사의 산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The developmental background of Jakbeopmu have been dated and determined through document reviews and iconography in this paper.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forms of Jakbeopmu, instrumental constitution and costumes, Jakbeopmu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ongs, playing instruments and dance we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buddhist rituals, Jakbeopmu has the same history as Beompae. The record of Beompae is found in a document written in the early 6 century, Gongyangmu might be also preformed in the same century. Second, Geumganggabosal and Geumgangmubosal appear in ‘Yaksulgeumgangyugabun byerlsungwuysujeungbeopmun’ written in the middle of 8 century. Considering the prayer of the buddhist ceremony reflects the thought and the cultures of that time on the basis of Buddhist sutras, Jakbeopmu began at least 1200 years ago. Third, the current form of Jakbeopmu appeared in the scripture written in 1496. So it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500 years. Iconographic references can be found on Amrita painting drawn after the middle of 18C. There are well-depicted Jakbeopmu, songs, playing instruments and dance on the Amrita painting drawn in the Joseon dynasty. It also depicted various instruments for buddhist ritual, costumes and Jangeom which is buddhist decoration. It is precious cultural material and historical product that dipicted social life customs, hand crafts, arts and various dance move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