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적 표현방식 연구 : 심리가 반영된 작품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 中央大學校, 201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 敎育學科 美術敎育專攻 , 2012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한국어
KDC
376.5465512.5156 판사항(5)
DDC
750.712615.85156 판사항(21)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iv, 59장 : 천연색삽화 ; 26 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54-55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미술표현이 청소년의 내면을 반영하는 것으로 미술 치료적 표현을 통해 청소년의 불안한 심리를 미술이 극복하게 해 줌을 설명하는 논문이다. 청소년 미술표현의 여러 가지 양상을 본 연구자의 논문에서 청소년 미술표현심리에 연관시켜 새롭게 규명해보고자 한다.
미술은 내면으로 부터의 표현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이는 미술의 본질이 소통을 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통이란, 타자와의 소통이기도 하며 자아와의 소통이기도 하다. 미술표현을 하면서 자신을 마주보게 되면 내면의 이야기에 귀 기울일 수 있게 된다.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등을 말이다. 학생들은 미술을 통해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한다.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복잡한 생각과 감성을 쉽게 표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서를 순화시키고 내면의 상처가 치유되는 것이다.
미술을 중고등학교 때 배우는 것은 시민의 기본 교양의 하나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려는데 그 의도가 있다. 중등 미술교육은 ‘교양인’으로서 갖추어야할 예술에 대한 교양을 쌓는 일이 중요하다. 여기서 ‘예술적 교양’은 크게 미술에 대한 지식과 예술가적 심성개발이 핵심이 된다. 이러한 것은 일반 교과에서는 다룰 수 없는 미술 나름의 특별한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다.
인간의 삶에는 발달 시기별로 끊임없는 미술활동이 필요하지만, 특히 청소년기 특유의 불안심리와 입시제도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혼란스러운 심리를 갖고 있는 중학생들에게 미술활동은 꼭 필요한 것이다. 청소년의 생활을 반영하면서 교감의 매개체로 자리매김한 미술은 심리, 사회, 문화 등 수없이 많은 부분과 크로스 오버하고 있다. 미술활동은 청소년의 삶에서 매우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가르치는 중학교 학생 9명을 대상으로 미술치료적 표현양식이 드러난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해보고자 한다.
작품에 나타난 심리를 파악하는 것은 청소년에게 미술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여주고 자신이 느끼는 심리적 불안요인을 스스로 인식하고 통합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at uneasy mentality of youths can be overcome by art through the expression of art therapy as art expression of youths reflects the inside of them. And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art expression mentality of youths through various aspects of art expression of youths.
Art frees the expression from the inside, which means that the essence of art has a characteristic of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eans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with ego. By expressing art, if you face yourself, you can listen to what your heart says. In other words, what do you want to and what do you want to do. Students expression own feeling via art.
Through non-lingual communication, they can express complicated ideas and emotions easily. By this, they can purify their emotions and wounds of their inside can be healed.
The reason of learning art during middle & high school is to equip the talent needed as one of basic refinement of citizens. In art education of middle & high school, it is important to develop refinement to art as the essential of "cultured person". "Artistic refinement" has two cores; knowledge to the art and development of artistic mind. This is the education which cannot be taught from general subjects of school and grows the special talent of art.
Continuous art activity is necessary to human life for each developing period and in particular, to the students who have uneasy mentality with characteristics of youths and the stress to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rt can be the rest in life. Art positioned as a medium of communion by reflecting the living of youths crosses over with many areas such as mentality, society, and culture. Art activity has potential and possibility to make youths to play a big role in their life.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works revealing the expression way of art therapy with various aspects for the 9 subj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this researcher teaches.
Recognizing the mentality reflected to the art work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youths to the art and will play a role to make youths to recognize the factors of their mental uneas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