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maturity in faith, happiness,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저자
발행사항
부천 :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 전공 , 2012. 8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372.21 판사항(21)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v, 80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유림
가톨릭대학교 (성심)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p. 50-64) 포함.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igious life of faithful teachers who work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maturity, happiness, ego-resiliency,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ith maturity on happiness, ego-resiliency,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faith maturity in faithful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various forms of religious education centered on each Catholic diocese.
According to such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How is the religious life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2. Is the faith maturity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lated to their happiness, ego-resiliency, and job satisfaction?
3. What is the effect of faith maturity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ir happiness, ego-resiliency,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364 teachers of Catholic faith who work in 63 Catholic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The faith maturity scale developed by Malony(1995) and supplemented by Seok Chang-hun(2001) and Kang Hye-soon(2005) was modified and used as a questionnaire, and to measure the teachers’ happiness, the psychological stability scale developed by Ryff (1989)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Myung-so, Kim Hye-won, and Cha Gyeong-ho(2001) was modified and used. For self-flexibility, the scale developed by Atsuchi, Hitoshi, Shinji, and Motoyuki(2002)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Min Dong-il(2007) was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the scale developed by Huang(2001) and translated, modified, and verified to be suitable for our country by Park Geun-hee(2003) was modified and used.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Cronbach’s α of the collected data for credibility analysis of the examination tool;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fi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igious life of Catholic teachers who work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wed that in many cases they had entered the faith at the suggestion of other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many Catholic teachers who had received christening, and that response of ‘other’ was the highest for sacrament of confirmation. There were many teachers of Catholic faith who participated in mass once a week, and had not joined any church activity groups.
Second, the results showed a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 maturity of teachers who work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faith maturity of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ir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teachers’ faith matu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faith maturity of Catholic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an be a factor in increasing their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necessity of faith maturity of teachers working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emphasized, and methods that can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by the dioceses in an effort to achieve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research, and endeavor to increase the quality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there should be continual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aith maturity, happiness, self-flexi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o various programs and information for teachers’ qualitative growth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생활을 알아보고,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며, 신앙성숙도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도 필요성과 가톨릭 각 교구 중심의 다양한 종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생활은 어떠한가?
2.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는 행복감, 자아탄 력성 및 직무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3.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일부에 소재한 63개 가톨릭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그곳에 재직 중인 가톨릭 신자 364명의 교사들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Malony(1995)가 개발하고 석창훈(2001)과 강해순(2005)이 수정․보완한 신앙성숙도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의 행복을 측정하기 위하여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김명소‧김혜원‧차경호(2001)가 한국판으로 번안․수정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Atsushi, Hitoshi, Shinji와 Motoyuki(2002)가 개발하고 민동일(2007)이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uang(2001)이 제작하고 박근희(2003)가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번역․수정한 뒤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사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및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생활을 분석한 결과, 주위의 권유로 입교한 경우가 많았고, 유아세례를 받은 신자교사들이 많았으며, 견진성사는 기타(받지않음 포함)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사는 일주일에 한번 참례하고, 성당활동단체에는 가입하지 않은 신자교사들이 많았다.
둘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그리고 직무만족도는 높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도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신앙성숙도는 행복감, 자아탄력성,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은 행복감, 자아탄력성 그리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신자교사들의 신앙성숙에 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교육의 목적을 성취하고 가톨릭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연구, 노력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직무환경을 개선해 줄 수 있는 방안들이 교구차원에서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질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이나 자료가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