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주의 관점에서의 시조교육
저자
발행사항
부산 : 신라대학교, 200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02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74.71811.3 판사항(4)
발행국(도시)
부산
형태사항
ii, 54장 ; 27 cm.
소장기관
You can see the relation of ecological criticism to literary educaton. It's aimed to know a principle of Sijo and a process of Sijo how to analyze in a view of ecological point after considering of Sijo education.
In chapter I, you can confirm necessary of Sijo education. Also I suggest the way how to study Sijo.
In chapter II, there is the relation of ecological criticism to literary education.
First, a purpose of education is the upright growth of students which is made by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people. So these day paradigm of ecology is getting important that it can solve a problem of education.
Second, importance of 'literary imagination' corresponds to importance of 'ecological imagination' in literary education. Especially, Sijo education makes teenagers learn a ecological feeling and imagination.
In chapter III, you can see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First, it's awarenss that people like nature. we can guess their mind from Sijo that people live with nature.
Second, people think they are the same as nature. So we can know people love nature so much.
Third, they respect their lives. simply it doesn't come from their thoughts of loving nature. They have got lots of careness of lives.
Fourth, they criticize a crisis of ecology and a disadvantage of developing nature that can be air or water pollution. It's quite serious. we can know they want to protect nature.
Fifth, Sijo has a criticism of civilization and a thought of recovering humanism.
They worry about their lives being destroied by civilization or not.
In chapter IV, we can know a principle of Sijo and a process of Sijo how to analyze in a view of ecological point.
First, it should be done before doing something because it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Sijo. It means to know his thought and worldview.
Second, a process of Sijo is researching value and making value.
In chapter V, it's seen a conclusion. Sijo reflects our lives which is dangerous because of a crisis of ecology. In addition, most of Sijo have importance of nature. So it can be useful for students to have posi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I think studying Sijo is so significant and useful to change their thoughts which are to love nature. I wish Sijo had a lot of values in education and was studied more activ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