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대 학생의 직업정체성 형성에서 학습 경험의 의미 이해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평생교육전공 2021. 2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Understanding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students
형태사항
iv, 177 p. : 삽화,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홍아정
참고문헌수록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34167
소장기관
이 연구는 학습 경험의 관점에서 입학부터 졸업을 앞둔 현재 시점까지 한의대생이 형성하는 예비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한의대 본과 4학년 2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 대부분이 성적에 맞추어서, 안정적인 직업을 얻기 위해 대학에 입학하였다. 진로 준비 없이 한의대에 입학하게 된 이들은 초기에 적응을 어려워하였다. 임상과의 접점을 알지 못한 채 암기 시험으로 낯선 한의학을 접하면서 강한 거부감을 표출하였다.
학교교육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이들의 다양한 시도는 무형식학습으로 귀결되었다. 병원실습, 봉사활동, 캠프, 스터디, 롤모델을 통해 학문에 대한 이해와 확신을 찾아갔다. 대학에서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보람, 가치, 소명의식을 깨닫게 되면서 진로 탐색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들에게 유익한 학습 경험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다른 학과와의 상호작용이 부재하며, 한정된 진로는 폐쇄적이고 개인주의적인 학교 문화를 형성하였다. 외부와의 상호작용이 단절되면서 인터넷에 열중하지만 불특정다수가 쏟아내는 한의사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과 대립하거나 내부 구성원이 인식하는 비주류로서의 한의사, 다른 직군과의 대립 구도, 불신이 인터넷 여론과 결합하면서 이를 재생산하는 주체가 되었다.
복잡한 학습 경험이 뒤섞이면서 졸업 후 진로선택이 이루어졌다. 뚜렷한 목표의식을 형성한 이들은 직업 세계로의 이행을 재촉하며 주도적으로 학습을 찾아갔다. 반면 진로선택을 유보하거나 병원 경영에 대한 부담감, 의료 시장에서의 경쟁을 걱정하며 다른 진로를 고민하는 이들도 있었다.
학습 관점과 내러티브 정체성을 결합하면서 이 연구에서 학습자의 변화는 정체성이자 재정의된 전환학습으로 내러티브에 나타났다. 한의대생의 삶을 담은 이야기를 통해 대학 진학 계기에 드러난 직업 인식과 가치 판단 기준이 대학에서 변화를 일으켰으며, 졸업 후 진로 결정으로 가시화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직업정체성 형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그동안 모호하다는 특성 때문에 비판받았던 내러티브 정체성에 대해 고유한 내러티브에 담긴 가치 판단과 선택으로 정체성 이행을 설명하는 이론적 렌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개인의 고유한 내러티브 정체성을 통해 학습 관점에 대한 이론을 확장할 수 있었다. 학습 경험은 내러티브 성질에 기반하여 개인이 직접 인지하는 주관적인 판단 기준에 따라 내부에서의 상호작용과 외부에서의 상호작용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분리된 두 개의 상호작용은 독립적으로 개인 정체성 형성에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기존 전환학습에서는 혼란스러운 딜레마라는 모호한 개념을 사용하여 충격적이며 부정적인 학습 속에서 정체성이 변화한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정체성과 결합하여 학습자의 가치 판단에 따라 구분되는 내부와 외부에서의 상호작용이 모두 충족될 때, 그리고 내부세계에서 벗어나 외부 세계를 받아들이고, 나아갈 때 직업정체성 형성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새롭게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발달론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개인이 구성하는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내러티브 속에 드러난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바라보는 학습 관점을 확장하여 학습자를 중심으로 인식되는 내부에서의 상호작용과 외부에서의 상호작용을 범주화하고 두 영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체성이 발달하는 초기 단계부터 진로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 환경 구축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rom the learning perspective. To this e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method by 21 traditional Korean medical (TKM) students in the 4th year.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ntered the school to obtain stable jobs according to their K-SAT scores. Those without career preparation had difficulty adjusting to school in the early stage. They expressed a strong sense of rejection encountered unfamiliar TKM through rote learning without knowing the clinical connection.
Their various attemp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formal education lead toward informal learning. They sought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in the study through clinical practice, volunteer activities, camps, and role models. They started to realize the sense of reward, value, and vocation as a preliminary doctor.
There were also negative learning experiences. Their career path and little interaction formed a closed and individualistic school culture. The participants were against the negative perception of TKM or became the subject of reproducing the negative perceptions of their future job.
As the complex and confusing learning experiences mixed, the research participants made career decisions after graduation. Those with a clear sense of goal encouraged themselves to jump into the working life. On the other hand, some withheld their career choices or worried about hospital management and competition in the medical market, considering other jobs.
In this study, the learners' change has appeared in the narrative as identity and re-conceptualized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the story of their life as a TKM student,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ecame visible as career decisions after graduation in the series of processes that their initial job perception and value judgment changed at the school.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study provides a new theoretical lens that explains the transition of identity through personal judgment and decisions for the narrative identity, which has been criticized for its ambiguity.
The study was able to expand the learning perspective through the individual's unique narrative identity. The participants classifi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to internal interaction and external interaction according to personal judgment. Those two separate interactions independently influenced identity formation.
In the existing transformative learning, an ambiguous concept of the disoriented dilemma was used that identity can be changed by the shocking and negative experience. However, in this study, professional identity is formed when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interaction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rners' judgment are satisfie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tarted when a learner moved awa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world.
The study expanded the learning perspective on identity. It also suggested that the necessity of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explore themselves as future professionals from the early stages of identity develop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